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및 식생활 관련 요인에따른 식생활 문화적응 유형의 차이

이용수 41

영문명
Types of Dietary Accultur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gic and Dietary Factor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정선옥(Sun Ok Jung) 양숙자(Sook Ja Yang)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7 No.5, 2675~268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0.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한 식생활 문화적응은 개인만이 아니라 가족구성원의 건강 및 자녀의 성장과 발달, 나아가 다문화 사회의 정착 및 통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및 식생활 관련 요인에 따른 식생활 문화적응 유형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4월 6일부터 4월 17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결혼이주여성 157명이다.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조사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대상자의 식생활 문화적응의 유형은 한국과 모국 음식문화 지향성 모두 높은 통합유형 33.1%, 모두 낮은 주변화유형 30.6%, 한국 음식문화 지향성만 높은 동화유형 19.7%, 모국 음식문화 지향성만 높은 분리유형 16.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문화적응의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유형은 결혼 전 국적(=12.622, p=.048), 교육수준(=14.381, p=.025), 식사준비 시 기호를 고려하는 대상(=30.184, p=.003)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동화유형과 통합유형의 결혼이주여성은 분리유형의 결혼이주여성보다 한국음식을 만드는 것이 쉽다고 하였으며(F=4.986, p=.003), 통합유형의 결혼이주여성은 주변화유형의 결혼이주여성에 비하여 모국음식 요리법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쉽다고 하였다(F=3.576, p=.015).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식생활 관련 요인을 고려한 식생활 문화적응 유형을 확인하여 건강한 식생활 문화적응을 정착시킬 수 있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건강교육과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dietary accultur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dietary factor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The sample consisted of 157 married immigrant women who came from China, Vietnam, and the Philippines (M age=31.5, SD=6.67). Data were drawn from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socio-demographic and dietary characteristics, and the dietary acculturation scale. Dietary acculturation was first examined by the levels of Korean food culture orientation and home food culture orientation, and th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dietary acculturation: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test, ANOVA, and chi-square with SPSS 21.0. The most common types of dietary acculturation were integration (33.1%), marginalization (30.6%), followed by assimilation (19.7%), and separation (16.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types of dietary acculturation by immigrant women’s country of origin (=12.622, p=.048), education (=14.381, p=.025), and family members to consider when preparing meals (=30.184, p=.003). Integration type and assimilation type was easier to make Korean food than separation type (F=4.986, p=.003), integration type was easier to get information about making native food than marginalization type (F=3.576, p=.015).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dietary acculturation and socio-demographic and dietary factors and acknowledg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s minorities in Korean society, starting with understanding of their home food culture. Healthy dietary acculturation would contribute to promote health of immigrant women and their family as well as adjustment to the host country.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선옥(Sun Ok Jung),양숙자(Sook Ja Yang). (2015).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및 식생활 관련 요인에따른 식생활 문화적응 유형의 차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7 (5), 2675-2689

MLA

정선옥(Sun Ok Jung),양숙자(Sook Ja Yang).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및 식생활 관련 요인에따른 식생활 문화적응 유형의 차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7.5(2015): 2675-26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