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현 『조천일록』에 나타난 누정문화와 미학적 체현 양상

이용수 96

영문명
Injae Choi Hyun’s Culture of Pavilion and Aesthetic Embodiment in Cho-cheon Il-lok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양훈식(Yang, Hoon-shi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호, 495~52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1.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외적으로는 명(明)·청(淸) 교체기와 대내적으로는 선조(宣祖)에서 광해군(光海君)으로 바뀌는 시기에 인재(訒齋) 최현(崔晛, 1563~1640)의 『조천일록(朝天日錄)』에 나타난 누정문화와 미학적 체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최현은 1608년 동지사(冬至使) 서장관(書狀官)으로 임무를 받고 다녀오는 노정에서 누정 체험을 기록으로 남겼다. 최현은 조선 지식인으로서 그의 스승 두곡 고응척, 학봉 김성일과 여헌 장현광을 통해 지리적 인문과 군사적 지식에 대한 안목을 기른 셈이다. 이러한 학문적 기반을 토대로 조선과 중국의 사행노정 속에서 누정을 탐승하거나 정탐하는 작업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가 체험한 누정은 다음과 같다. 위봉루(危鳳樓)(8/7)-남대문누각(8/8)-태허루(太虛樓)(8/12)-쾌재정(快哉亭)(8/14)-연광정(鍊光亭)(8/15),부벽루(浮碧樓)-백상루(百祥樓(8/18)-공강정(控江亭),제산정(齊山亭)(8/19)-납청정(納淸亭)(8/20)-팔의정(八宜亭)(8/23)-취승정(聚勝亭)(8/30)-통군정(統軍亭)(9/2)-조림정(稠林亭)(9/13)-관풍루(觀風樓)(9/16)-진락원루(眞樂園樓)(9/22)-송화경(松花境)(9/22)-망경루(望京樓)(9/23)-산해정(山海亭)(10/16)-관해정(觀海亭)-관해루(觀海樓)(10/16)-오봉루(五鳳樓)(11/4)-공극루(拱極樓)(2/18)-영은루(迎恩樓)(2/23)-백불루(百佛樓)(2/24)-취승정(聚勝亭)(3/6)-납청정(納淸亭)(3/12)-공강정(控江亭),백상루(百祥樓)(3/13) 등이 문헌에 제시되었다. 이를 승경의 신유(神遊)와 현현(顯現), 관물의 정탐(偵探)과 현람(玄覽)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조선의 누정에 대해서는 승경의 신유와 현현의 관점에서 글을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군사적 목적에서 누정 주변의 풍광을 자세히 서술함으로써 인문지리적 지식과 안목이 드러나도록 하여 관물을 정탐과 현람의 관점으로 드러내었다. 이상에서 최현은 누정을 대하는 관점에서 사물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인문지리와 군정을 다르게 이해하는 발판을 제공했다고 짐작할 만하다. 먼저 경물을 탐승 할 때는 신유(神遊)와 현현(顯現)을, 다음으로 관물에서는 정탐(偵探)과 현람(玄覽)이라는 사물의 핵심을 꿰뚫어 그 본질을 밝히는 양상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최현의 『조천일록』 속에 나타난 누정문화체험은 조선 지식인의 유가적 정신과 그의 관찰력이 결합되어 난 심미적 감성의 체현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e of pavilion and the aspect of aesthetic embodiment in Cho-cheon Il-lok by Injae Choi Hyun(訒齋 崔晛, 1563~1640) during the period ranging from the foreignly political shift of the Ming-Qing dynasty in China to the domestically political shift of the King Seon-jo to Gwanghae-gun in the Joseon dynasty. In 1608, Choi left a record of his experience on pavilion culture while he was on a diplomatic mission as Seojanggwan, the governor of Dongji. As an intellectual of the Joseon Dynasty, Choi was able to develop a discernment for geographical and military knowledge through his mentors, Dugok Ko Eung-chuk, Hakbong Kim Sung-il, and Yeoheon Jang Hyun-kwang. On the basis of the academic foundations, it can be said that he would be engaged in spying on the various pavilions that he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the diplomatic visit from Joseon to China. The pavilion cultures experienced and presented in his literature are as follows; Uebongru(危鳳樓)(Aug. 7)-Namdaemun Pagoda (Aug. 8)-Taeheru(太虛樓)(Aug. 12)-Keuaejaejeong(快哉亭)(Aug. 14)-Yeonggwangjeong(鍊光亭)(Aug. 15), Bubbyekru(浮碧樓)-Baeksangru(百祥樓)(Aug. 18)-Konggangjeong(控江亭), Jaesanjeong(齊山亭)(Aug. 1 9)-Napcheongjeong(納淸亭)(Aug. 20)-Paluijeong(八宜亭)(Aug. 23)-Chyiseungjeong(聚勝亭)(Aug. 30)-Tonggunjeong(統軍亭)(Sept. 2)-Jorimjeong(稠林亭)(Sept. 13)-Gwanpungru(觀風樓)(Sept. 16)-Jinlakwonru(眞樂園樓)(Sept. 22)-Songhwakyung(松花境)(Sept. 22)-Ma nggyeongru(望京樓)(Sept. 23)-Sanhaejeong(山海亭)(Oct. 16)-Gwanhaejeong(觀海亭)-Gw anhaeru(觀海樓)(Oct. 16)-Obongru(五鳳樓) (Nov. 4)-Gonggukru(拱極樓)(Feb. 18)-Yeon geunru(迎恩樓)(Feb. 23)-Baekbul ru(百佛樓)(Feb. 24)-Chuiseungjeong(聚勝亭)(Mar. 6)- Napcheongjeong(納淸亭)(Mar. 12)-Gonggangjeong(控江亭), Baeksang-ru(百祥樓)(Mar. 1 3) and the like. His writing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Seunggyeong(勝景)’s Sinyu(神遊) and Hyunhyeon(顯現) and Gwanmul(觀物)’s Jeongtam(偵探) and Hyeonram(玄覽). First of all, he wrote about Joseon’s pavilion and its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Shinyu and Hyunhyun based on Seunggyeong. Next, by detailing the scenery around the pavilion for military purposes, he tried to reveal the knowledge and insight of the hum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Jeongtam and Hyeonram. In the above, it can be considered obvious that Choi Hyun applied the method of object recogni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dealing with the pavilion cultures, providing a platform for understanding humanistic geography and military administration differently. Firstly, he intends to show Shinyu and Hyunhyeon when they explore the scenery and secondly, he reveals the aspects of the essentials of objects by penetrating objects through Jeongtam and Hyunram.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culture of pavilion in Cho-cheon Il-lok is the very combined consequences from the Confucian spirit of the Joseon dynasty’s intellectuals and his own aesthetic embodiment.

목차

1. 서론
2. 승경의 신유(神遊)와 현현(顯現)
3. 관물의 정탐(偵探)과 현람(玄覽)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훈식(Yang, Hoon-shik). (2020).최현 『조천일록』에 나타난 누정문화와 미학적 체현 양상. 문화와융합, 42 (1), 495-525

MLA

양훈식(Yang, Hoon-shik). "최현 『조천일록』에 나타난 누정문화와 미학적 체현 양상." 문화와융합, 42.1(2020): 495-5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