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기 및 연기관련 전공 대학생간 삶의 질 차이 연구

이용수 247

영문명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Acting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K-VHI and K-VRQOL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황영진(Hwang Young-ji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호, 63~8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1.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직업적 음성사용자에 대한 음성평가도구는 음성이 삶의 질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잘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기 및 연기 관련 분야를 전공을 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음성장애지수(K-VHI)와 한국판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을 이용한 삶의 질적인 차이를 살펴봄과 동시에 삶의 질과 관련된 평가도구인 K-VHI와 K-VRQOL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연기 및 연기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교 1-2학년에 재학중인 97명(연기전공 39명, 무대전공 17명, 연출전공 41명)이었다. 97명의 연구 대상자에게 K-VHI 및 K-VRQOL 검사지를 배부하기 전 본 검사의 취지와 주의사항등을 설명하였고, 두 검사지를 배부한 후 각 문항에 대한 설명을 듣게 한 후 질문에 답하도록 요구하였다. 연기 및 연기관련 전공에 따른 K-VHI와 K-VRQOL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K-VHI와 K-VRQOL간의 상관관계를 이변량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K-VHI에서는 기능적 영역에서 세 집단간 차이가 있었으며[F(2,94)=6.307, p<.05], K-VRQOL에서는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94)=4.181, p<.05]. K-VHI와 K-VRQOL간 Pearson 상관계수가 0.81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강한 양적 선형관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공에 따라 겪는 주관적 음성의 인식정도가 하위 영역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K-VHI와 K-VRQOL의 결과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Voice assessment tools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should be able to reflect the impact of one’s voice on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voice handicap index (K-VHI) and the Korean version of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ssessment tool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cting and acting-related fields. We simultaneousl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VHI and K-VRQOL. The study had 97 participants (39 acting majors, 17 stage majors, and 41 director majors), who were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the university majoring in acting and acting-related fields. The purpose of and precautions in this test were explained before distributing the K-VHI and K-VRQOL tests to 97 participants. After receiving the two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an explanation of each question and asked to answer each item.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VHI and K-VRQOL with regard to the majors in acting and acting-related field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VHI and K-VRQOL was examined through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functional domain of the K-VHI [F (2,94) = 6.307, p<.05],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K-VRQOL [F (2,94). = 4.181, p<.05].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K-VHI and K-VRQOL was 0.81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was a strong quantitative linear relationship. Even so, subjective speech perception differs according to one’s major, and it is desirable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and utilize the results of the K-VHI and K-VRQOL.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영진(Hwang Young-jin). (2020).연기 및 연기관련 전공 대학생간 삶의 질 차이 연구. 문화와융합, 42 (1), 63-82

MLA

황영진(Hwang Young-jin). "연기 및 연기관련 전공 대학생간 삶의 질 차이 연구." 문화와융합, 42.1(2020): 6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