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희진(毛熙震) 사(詞)의 화간성(花間性) 고찰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Huajianxing of Mao Xi-Zheni’Ci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홍병혜(Hong Byung-hy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호, 429~45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詞)라는 문학형식은 중국정통의 아악(雅樂)이 아닌, 속악(俗樂)과 호악(胡樂)이 혼합된 곡조(曲調)에 가사를 채워 넣은 것으로 수(隋)·당(唐)의 민간사(民間詞)에서 출발하여 성(盛)·중당(中唐)의 초기문인사(初期文人詞)를 토대로 만당(晩唐)의 전문문인사(專門文人詞)에 이르러 이전의 추형을 탈피해 완정한 형식의 사문학(詞文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역정을 거친 중국의 사문학은 송대(宋代)에 절정을 이루었고, 당오대사(唐五代詞)는 송사(宋詞)의 선도가 되었다. 당오대사의 내용은 대략 당대민간사(唐代民間詞)·당대문인사(唐代文人詞)·오대서촉사(五代西蜀詞)·남당사(南唐詞)로 구분된다. 특히 이 중 오대서촉사는 거칠었던 사체(詞體)의 원형을 벗어나 문인사의 전형을 완비하여, 향후에 전개될 송대 사문학의 구체적인 표준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오대서촉사의 상황을 철저히 고찰하는 것은 사학(詞學)의 기본이자 그 연구의 토대이며, 『화간집(花間集)』은 오대서촉사의 총체를 파악하는 데 있어 원전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간집』의 18사인은 사사(詞史)에 있어 최초로 유파를 창시한 자들이다. 이들은 사문학의 성숙기에 공존하면서 비슷한 사의 제재·형식·표현수법·풍격을 구사하며, 당시의 문예풍조를 대표하고 문인사의 초기규범을 실현하였다. 그러나 이 화간유파(花間流派)는 결코 획일화된 폐쇄형태의 사인(詞人) 집합체는 아니다. 이에 예술풍격에 있어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으며 심미경향에 있어서도 공통으로 추구하는 것도 있고 각자의 특징도 가지는, 사실상 사인들이 무의식적으로 결성한 산만한 조직이었다. 따라서 이 중에 몇몇의 주요인물은 자신만의 독특한 조예를 가지고 집단풍격 외의 예술개성을 과시하여, 심지어 그들의 풍격이 후인의 학습대상이 될 정도에 이르렀으며, 오대 이후 새로운 풍격들과 새로운 유파들을 개창하는 선구가 되기도 한다. 결국 화간유파는 실제로 유파 속에 유파가 있는 광범위한 유파이기 때문에, 화간유파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친 시각에서 세심한 시각으로 그 관점을 이동해야만 한다. 본고는 중국 사문학의 화간사파(花間詞派)를 온정균(溫庭筠)을 위시한 단순한 동일유파로 간주하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화간집』의 양대 거장인 온정균과 위장(韋莊)을 제외한 16인에 대한 세밀한 고찰이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곧 본고가 화간사인((花間詞人)인 모희진(毛熙震)에 주목하고 이를 고찰하는 이유이다. 화간사인 전체에 대한 개별 연구는 그 결과가 당시의 화간성에 단순히 부합할 수도 있고 향후 전개될 송사의 일정유파에 대한 개창의 시발점이 될 수도 있다. 화간사인들의 향후 영향력이나 그 개별 연구결과의 향방과는 무관하게,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화간집』에 대한 밀도 있는 전모파악은 오대서촉사의 총체 그리고 그것이 송사와 가지는 연결적인 기능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 기본과제라는 것은 분명하다. 이와 같은 당위성을 전제로 본고에서는 모희진의 화간성(花間性)을 ‘색감을 통해 화간사의 향염성’을 ‘유약어를 통해 화간사의 유미성’을 ‘몽경을 통해 화간사의 심층성’을 ‘정경의 융합을 통해서는 화간사의 진실성과 완곡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Mao Xi-Zheni’Ci twenty-nine piece are collected in “Huajianji”. He tends to copy Wen Ting-Jun in many things. Nevertheless, Mao Xi-Zheni’Ci reveal individual Huajianxing. He uses the following method: the color is used as a metaphor, good use of weak word, better representations of the dreams world, and combines imagery and emotion. Mao Xi-Zhen’Ci presented the beauty through color, the esthetic through weak word, depths through dreams, honesty by fusing and feeling. The Xi-Shu’Ci period was a competitive time in the history of the Ci literary form. “Huajianji” is an excellent representation of this situation. Moreover, writers of “Huajianji” basically have Huajianxing. Mao Xi-Zheni’Ci have not only Wen Ting-Jun Huajianxing but also personality. Huajianxing of “Huajianji”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Song Ci and the authors of “Huajianji” all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lore Huajian’Ciren. This study considers Huajian’Ciren; an in-depth examination of Ci of “Huajianji” is left for future research.

목차

1. 서론
2. 모희진 사의 화간성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병혜(Hong Byung-hye). (2020).모희진(毛熙震) 사(詞)의 화간성(花間性) 고찰. 문화와융합, 42 (1), 429-454

MLA

홍병혜(Hong Byung-hye). "모희진(毛熙震) 사(詞)의 화간성(花間性) 고찰." 문화와융합, 42.1(2020): 429-4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