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학업성취의 차이 검증

이용수 293

영문명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Using Latent Mean Analysis - Based on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and Knowledge exploration Capabilit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임경수(Lim Kyoung Soo)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호, 281~30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종합적 사고력과 지식탐구역량이 대학생의 학업성취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K대학교 재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학업 고성취집단과 저성취집단을 구분하고, 집단 간 잠재평균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종합적 사고력과 지식탐구역량 요인들(목표설정, 학습몰입, 과제수행, 학업성찰, 학습전략)을 잠재변인으로 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의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절차에 따라 측정모형의 형태 동일성, 측정 동일성, 절편 동일성 등을 검증한 결과, 학업 고성취집단과 저성취집단의 측정모형은 모두 적합도가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동일성 검증에 따라 학업 저성취집단을 참조집단으로, 고성취집단을 측정집단으로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학업 고성취집단은 6가지 요인 모두 저성취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ohen의 효과크기를 보면 과제수행과 학습몰입은 .90 이상으로 차이가 컸으며, 학습전략, 학업성찰, 종합적 사고력 등은 .60 이상을, 목표설정은 .49로 중간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필요한 학습 방안을 제언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and knowledge exploration capability showed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349 students at K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achievement groups, and the difference in latent mean among the groups was examined. The latent me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with the factors of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and knowledge exploration capability(target setting, learning commitment, task performance, academic reflection, learning strategy) as lat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the model identity, measurement identity, and section ident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test of equality, latent mean were compared with the low achievement group as the reference group and the high achievement group as the measurement group. As a result, all six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low achievement group. According to Cohen s effect size,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commitment differed more than .90, and learning strategy, academic reflection, and comprehensive thinking were above .60, and goal setting was .49.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a study plan for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경수(Lim Kyoung Soo). (2020).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학업성취의 차이 검증. 문화와융합, 42 (1), 281-305

MLA

임경수(Lim Kyoung Soo).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학업성취의 차이 검증." 문화와융합, 42.1(2020): 281-3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