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투운동 이후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 현황과 향후 대응과제
이용수 73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이미정 윤덕경 전혜상 정수연 이성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20 연구보고서 (기본), 1~298쪽, 전체 29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38,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Ⅰ. 서 론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018년 초 촉발된 미투운동을 통해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 폭로에 이어 문화예술계 대학에서도 피해 폭로와 관련 대책을 요구하는 학생들의 요구가 언론에 보도됨. 정부는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방지를 위한 대책을 논의하고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미투운동 이후 문화예술계 대학 교육프로그램에서의 성희롱?성폭력 발생 맥락과 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연구내용
○Ⅰ장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을 간략하게 밝힘으로서 연구의 전체적인 개요를 밝힘. Ⅱ장은 기존 문헌과 언론기사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계 대학에서 발생한 성폭력 현황을 살펴봄. Ⅲ장에서는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한 문화예술계 정책과 교육계 정책을 검토함으로써 문화예술계 대학 대상 정책방안을 제안함. Ⅵ장은 문화예술계 대학의 성희롱?성폭력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Ⅴ장부터 Ⅷ장에서는 문화예술계 대학 관련자 심층면접을 분석했는데, Ⅴ장부터 Ⅶ장은 문화예술계 대학 학생, 졸업생 등, Ⅷ장은 대학 내 성희롱 고충상담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심층면접의 내용을 분석함. Ⅴ장에서는 문화예술계 대학 내 성희롱과 성폭력을 가능케 하는 문화적 맥락을, Ⅵ장은 문화예술계 대학생들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현황을, Ⅶ장은 이러한 성희롱?성폭력에 대한 대응 현황을 분석함. Ⅷ장은 성희롱 고충상담원을 통해 살펴본 문화예술계 대학 내 상황과 처리과정에 대한 분석을 주요내용으로 함.
○이상의 연구수행을 토대로 Ⅸ장에서는 문화예술계 대학 내 성희롱?성폭력 방지를 위한 정책개선방안을 제시함.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Ⅱ. 문화예술계 대학의 성폭력 관련 현황
1. 미투운동과 문화예술계 성폭력
2. 문화예술계 성폭력 실태와 특성
3. 문화예술계 대학의 성폭력 현황과 특성
4. 소결
Ⅲ. 문화예술계 대학 정책
1.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한 문화예술계 정책
2.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정책
3.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한 문화예술계 대학 정책 제안
4. 소결
Ⅳ. 문화예술계 대학의 성희롱?성폭력 관련 규정 분석
1. 각 대학의 성희롱?성폭력 관련 규정 분석
2. 관련 규정 개선방안
Ⅴ. 문화예술계 대학의 문화와 성희롱?성폭력
1. 교수와 강사의 권력
2. 성별화된 위계구조 하에서의 교육
3. 교육과정에서의 위계에 의한 통제
4.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식
5. 소결
Ⅵ.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경험
1. 성희롱?성폭력 발생 공간
2. 성희롱?성폭력 가해자 특성
3. 성희롱?성폭력으로 인한 정서적 후유증
4. 성희롱?성폭력 이후 2차가해의 전개 양상
5. 소결
Ⅶ.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희롱?성폭력 대응
1. 미투운동과 성희롱?성폭력 피해 드러내기
2. 학생자치단체를 통한 대응
3. 성희롱 고충상담기구의 사건 처리
4. 조사위원회의 전문성 부족
5. 징계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
6. 학생 요구에 대한 대학 당국의 대응
7. 대학 당국과 학과에 바라는 바
8. 제도개선을 위해 바라는 바
9. 소결
Ⅷ. 고충상담원이 본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1. 구성원들의 성인지성과 위계 문화
2. 성희롱?성폭력 신고를 둘러싼 양상
3. 대학 내 사건 조사
4. 징계 처리
5. 미투운동 이후의 변화
6. 폭력예방교육
7. 성폭력 방지업무 관련 고충상담원의 견해
8. 소결
Ⅸ. 정책 개선방안
1. 성희롱?성폭력 근절 관련 교육부 책무 강화
2. 성희롱고충처리기구의 운영 내실화
3. 문화예술계 대학에 초점을 둔 정책
4. 성희롱?성폭력 관련 규정 개선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년여성의 정치의식과 정치세력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Ⅶ): 가족의 다양화에 따른 법적 대응
-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Ⅲ): 외모강박과 미용성형을 중심으로
- 201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 2019 한국의 성인지 통계
-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방안: 고용상 성차별·성희롱 예방·시정을 중심으로
- 지방분권과 성평등정책기반 조성방안
- 불법촬영물 대응에 관한 성인지적 분석
- 초중등 성평등교육의 요구 현실과 활성화 방안
- 2019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 가부장적 가정의례 문화의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저출산 대응정책 패러다임 전환 연구(Ⅰ): 청년층의 젠더화된 생애전망과 정책정합도 분석
- 중고령자 여성의 경제상태에 관한 연구: 은퇴시점을 기준으로
- 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 조성 정책 실효성 강화 방안 연구
- 성평등 실현을 위한 노동법 개선방안
- 노동시장 성 격차 해소를 위한 분야별 전략개발(Ⅱ): 직장문화를 중심으로
- 기술발전에 따른 여성 일자리 전망과 대응전략(Ⅱ): 플랫폼 일자리를 중심으로
- 이주여성의 다양성과 정책 재구성 방향
- 2019년 양성평등추진전략사업: 성평등의제 발굴 및 확산
- 북한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한 남북한 교류협력사업 추진 방안(Ⅰ)
- 핵심사업평가제도와 성인지예산제도 연계방안(Ⅰ)
- 주요 국정과제의 성 인지적 분석 및 개선방안(Ⅰ): 도시재생 뉴딜 사업
- 여성 당직자의 지위 및 역할에 관한 연구: 정당 내·외 네트워크 구축 경험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사업(Ⅴ): 제도 시행의 성과와 과제
-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활용을 통한 정책 개선과 발굴(Ⅲ)
- 성인지예산제도 시행 10년 평가와 과제(Ⅰ)
- 최저임금제도 변화와 남녀근로자의 임금 연구: 업종 및 지역구분 논의를 중심으로
- 미투운동 이후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 현황과 향후 대응과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