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여성의 다양성과 정책 재구성 방향
이용수 120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김이선 최윤정 김수진 오세연 최혜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20 연구보고서 (기본), 1~324쪽, 전체 3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40,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 연구개요
ㅇ 이주의 여성화가 전개되면서 한국사회에서는 그간 사회적, 정책적 관심의 초점이 되었던 결혼이주여성 이외에 여성 유학생, 농업부문 여성이주노동자, ‘동포’ 여성 등 서로 다른 성격과 제도적 위상을 지닌 이주여성 집단이 증가하고 있음.
ㅇ 특히, 여성 유학생과 농업부문 여성이주노동자의 증가세가 두드러짐
- 여성 유학생 ’09년 40,408명(50.1%) → ’18년 84,496명 (54.2%)
- 비전문취업(고용허가제) 여성이주노동자는 농업부문을 중심으로 증가
? 제조업 분야 비전문취업 여성이주노동자가 감소 추세에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농업분야 여성이주노동자는 ’09년 2,126명(27.3%)에서 ’18년 10,554명(33.5%)으로 증가
- 이외에 2017년부터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이 시행되면서 단기취업(C-4) 자격으로 농업부문에 종사하는 여성 계절근로자도 등장
ㅇ 연구 내용과 방법
- 여성이주 추이 및 이주여성 실태에 관한 원자료 분석
? 외국인 관련 통계: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등록외국인 지역별 현황 자료 등
? 2018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원자료: 주요 이주여성 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취업 및 복지실태
- 이주여성 및 현장 전문가 인터뷰
? 농업부문 여성이주노동자(5인) 및 현장 전문가(3인), 지자체 외국인 계절근로자 담당자(3인)
? 여성 유학생(16인) 및 대학 내 관련 기구 담당자(6인)
- 해외사례 연구
? 홍콩과 일본의 여성이주 추이와 이주여성 이슈, 민간단체나 언론의 최근 동향 분석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1. 여성이주의 전개와 이주여성의 다양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4. 연구방법
Ⅱ. 이주여성 주요 집단별 추이와 실태
1. 집단별 여성이주 추이
2. 주요 집단별 특성과 취업?복지 실태
Ⅲ. 사례를 통해 본 이주여성의 현실과 정책 요구: 농업부문 여성이주노동자, 여성 유학생을 중심으로
1. 주요 이주여성 집단에 관한 기존 연구 현황
2. 고용허가제 농업부문 여성이주노동자
3. 여성 유학생
4. 소결
Ⅳ. 동아시아 국가의 이주여성 현황과 이슈: 일본, 홍콩을 중심으로
1. 일본
2. 홍콩
3. 소결
Ⅴ.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1. 연구결과
2. 정책 현황
3. 정책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년여성의 정치의식과 정치세력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Ⅶ): 가족의 다양화에 따른 법적 대응
-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Ⅲ): 외모강박과 미용성형을 중심으로
- 201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 2019 한국의 성인지 통계
-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방안: 고용상 성차별·성희롱 예방·시정을 중심으로
- 지방분권과 성평등정책기반 조성방안
- 불법촬영물 대응에 관한 성인지적 분석
- 초중등 성평등교육의 요구 현실과 활성화 방안
- 2019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 가부장적 가정의례 문화의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저출산 대응정책 패러다임 전환 연구(Ⅰ): 청년층의 젠더화된 생애전망과 정책정합도 분석
- 중고령자 여성의 경제상태에 관한 연구: 은퇴시점을 기준으로
- 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 조성 정책 실효성 강화 방안 연구
- 성평등 실현을 위한 노동법 개선방안
- 노동시장 성 격차 해소를 위한 분야별 전략개발(Ⅱ): 직장문화를 중심으로
- 기술발전에 따른 여성 일자리 전망과 대응전략(Ⅱ): 플랫폼 일자리를 중심으로
- 이주여성의 다양성과 정책 재구성 방향
- 2019년 양성평등추진전략사업: 성평등의제 발굴 및 확산
- 북한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한 남북한 교류협력사업 추진 방안(Ⅰ)
- 핵심사업평가제도와 성인지예산제도 연계방안(Ⅰ)
- 주요 국정과제의 성 인지적 분석 및 개선방안(Ⅰ): 도시재생 뉴딜 사업
- 여성 당직자의 지위 및 역할에 관한 연구: 정당 내·외 네트워크 구축 경험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사업(Ⅴ): 제도 시행의 성과와 과제
-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활용을 통한 정책 개선과 발굴(Ⅲ)
- 성인지예산제도 시행 10년 평가와 과제(Ⅰ)
- 최저임금제도 변화와 남녀근로자의 임금 연구: 업종 및 지역구분 논의를 중심으로
- 미투운동 이후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 현황과 향후 대응과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