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ssociation between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and Emotional/Behavioral Outcomes of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이용수 72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은주(Eun Ju Lee) 오소정(So Jung Oh)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4, 906~924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화용언어능력과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련성을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를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일반아동의 화용언어능력과 정서/행동문제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대규모 종단연구인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에 참여한 전국의 9세 아동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화용언어능력(CPLC)과 정서/행동 강점/난점(SDQ) 평가의 하위영역별 상관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상관분석 결과 화용언어능력은 과잉행동/부주의, 정서증상,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이 있었으며, 또래관계와 행동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로분석결과 과잉행동/부주의 문제는 직접적으로 화용언어능력에 의해 영향을 받고(β=-.973, p<.0000) 정서증상을 매개로 정서/행동문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β=1.529, p<.0000; β=.283, p<.0000). 이는 화용언어능력이 낮을수록 과잉행동/부주의 문제가 많이 나타나며 정서/행동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정서증상은 정서/행동문제를 더 가중시키는 매개효과로 작용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초등학교 3학년 일반아동의 화용언어의 문제는 또래문제 또는 행동문제와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와는 달리 과잉행동/부주의 문제와 정서문제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정서/행동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화용언어능력과 과잉행동/부주의 문제가 ADHD아동 집단의 문제로만 적용될 것이 아니라 일반아동에게 있어서도 정서/행동문제를 야기하는 주요인으로 그리고 정서증상은 매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화용언어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일반아동에게 적용하였을 때 과잉행동/부주의, 정서증상, 그리고 정서/행동문제가 완화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re is a dearth of studies exploring the association between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and emotional/behavioral outcomes among childre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Methods: Data (N=600; 9-year-old children) from 10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analysis. Th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measures of total and subtest scores of performance data on th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Results: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was related to hyperactivity/inattention, emotional symptoms, and prosocial behavior, and was not 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problems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problem of hyperactivity/inattention was directly affected by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β=-.973, p<.0000), and influence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through the partially mediated emotional symptoms (β=1.529, p<.0000; β=.283, p<.0000). Conclus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blems of pragmatic language, hyperactivity/inattention and emotional symptoms do not only apply to the problem of ADHD children, but are also a major cause of emotional/behavior problems for ordinary children. Further research is also required on whether hyperactivity/inattention, emotional symptoms and emotional/behavior problems can be decreased when pragmatic language proficiency programs are applied to childre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Eun Ju Lee),오소정(So Jung Oh). (2019).Association between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and Emotional/Behavioral Outcomes of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4), 906-924

MLA

이은주(Eun Ju Lee),오소정(So Jung Oh). "Association between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and Emotional/Behavioral Outcomes of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4(2019): 906-9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