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honatory Onset and Vibratory Characteristics Based on Phonatory Type Using 2D Kymography and High Speed Videolaryngoscopy in Normal Speakers

이용수 8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최성희(Seong Hee Choi) 주민식(Min Sik Joo) 채혜림(Hye- Rim Chae) 최철희(Chul-Hee Choi)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4, 1054~1065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발성 개시는 병리학적 음성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임상적 단서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카이모그래피와 초고속 디지털 영상을 사용하여 발성 유형(정상, 기식적인, 강한 성대접촉)에 따른 발성 개시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외에 발성 개시가 음성의 안정된 부분의 성대진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 보기 위하여 안정된 구간의 발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35명의 정상 청년층을 통해 서로 다른 발성 개시 유형(정상, 기식성 혹은 부드러운 발성, 강한 성대접촉)에 따라 초고속 디지털 영상을 얻어내었다. 발성 전과 발성 개시 데이터는 DKG를 이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안정된 발성 구간은 MinArea, MaxArea, MinOpen, MaxOpen, SQ는 성문공간파형(GAW) 분석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CQ 및 OQ는 다기능 후두성능검사시스템의 2D DKG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MinArea는 기식적인 발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성별 차이는 없었다. MaxArea는 성별과 발성 개시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남성과 기식성 발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MinOpen도 기식성 혹은 부드러운 발성에서 유의하게 넓었다. MaxOpen은 발성 유형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남성에서 유의하게 넓게 나타났다. 또한, SQ는 기식성 발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OQ와 CQ는 성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발성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논의 및 결론: HSDI와 DKG는 발성 개시를 관찰하는 데 용이 하였으며, 발성 개시 유형에 따라 발성 전과 발성 개시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발성 개시 동작은 안정된 발성 구간에서 성대진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honation onset provides an important clinical cue in diagnosing pathologic voice conditions. The aim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the vocal fold kinematics during three different types (breathy, normal, hard glottal attack) of voice onset with videokymography and high-speed digital imaging. In addition, to elucidate how phonation onset affects vocal fold vibration in stable sections, quantitative parameters were measured in stable vocal fold vibrations. Methods: High speed digital imaging (HSDI) was obtained from 35 normal young adults with different phonatory onset types (normal, breathy, hard glottal attack). Pre and phonatory onset data were investigated qualitatively with digital kymography (DKG); MinArea, MaxArea, MinOpen, MaxOpen, and speed quotient (SQ),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by glottal area waveform analysis using Kay’s Image Processing Software; and closed quotient (CQ) and open quotient (OQ) were obtained by 2D DKG using multifunctional examination system. Results: Significantly higher MinArea were revealed in breathy phonation (p<.001) with no gender effect. With respect to MaxArea, both gender and phonation type effect was observed (p<.001). Significantly larger MaxArea was found in a breathy phonation and the male group. Similar to MinArea, breathy phonation was significantly widest in MinOpen than other phonation types (p<.001).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Open based on phonation types, the MaxOpen of males was significantly wider than that of females (p<.001). SQ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breathy phonation than normal and hard phonation. On the other hand, OQ and CQ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phonatory type without gender effect. Conclusion: The onset of vocalization was easily observed through HSDI and DKG, and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in pre-phonatory and vibratory onset according to phonatory onset type. In addition, voice onset gesture also affected vocal fold vibration in the steady-state por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희(Seong Hee Choi),주민식(Min Sik Joo),채혜림(Hye- Rim Chae),최철희(Chul-Hee Choi). (2019).Phonatory Onset and Vibratory Characteristics Based on Phonatory Type Using 2D Kymography and High Speed Videolaryngoscopy in Normal Speak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4), 1054-1065

MLA

최성희(Seong Hee Choi),주민식(Min Sik Joo),채혜림(Hye- Rim Chae),최철희(Chul-Hee Choi). "Phonatory Onset and Vibratory Characteristics Based on Phonatory Type Using 2D Kymography and High Speed Videolaryngoscopy in Normal Speak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4(2019): 1054-10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