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entence Recognition Performance in Visual-Only and Auditory-Visual Conditions by Normal and Hearing Impaired Adults

이용수 7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곽종현(Jonghyun Kwak) 최재희(Jaehee Choi) 장현숙(Hyunsook Ja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4, 1077~108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건청인과 청각장애인 모두 의사소통에서 청각과 시각 단서를 활용하고 있으나, 청각장애인의 실질적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청각 조건(AO)뿐만 아니라 청시각 조건(AV)에서도 어음인지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표준 일반용 문장표(KS-SL-A) 목록 간 시각적 난이도의 동등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VO 및 AV 조건에서 건청인과 청각장애인의 문장인지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남녀 화자의 KS-SL-A 발화 영상을 제작하고, 32명의 건청인에게 VO 조건에서의 문장인지도를 검사하여 8개 목록 간 난이도의 동등성을 확인하였다. 동등성이 확인된 목록을 사용하여 21명의 건청인과 11명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VO 및 AV (5, 10, 15 dB SL) 조건에서 집단 간, 제시조건 간 문장인지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VO 조건에서 문장인지도를 측정한 결과, KS-SL-A 목록 8개 중 1, 3, 4, 6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각적 난이도의 동등성을 확인한 목록 4개를 사용하여 AV 조건에서 청각정보의 제시강도를 15 dB SL까지 높였을 때 건청인과 청각장애인 그룹 모두 문장인지도가 증가하였으나, VO 및 5 dB SL에서 청각장애인이 건청인보다, 15 dB SL에서 건청인이 청각장애인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청각장애인은 건청인에 비해 시각적 정보를 크게 활용하고 있으며, 청각정보가 추가되었을 때 독화능력이 최대화되므로 실생활 속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추후 임상연구에서는 AO 조건과 AV 조건에서 청각장애인의 어음인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ist equivalency of the Korean Standard-Sentence List for Adults (KS-SL-A) in visual-only (VO) presentation conditions and to measure sentence recognition abilities for normal and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in VO and auditory-visual (AV) conditions. Methods: Sentences from the KS-SL-A, spoken by both males and females, were filmed and subsequently presented to 32 normal-hearing subjects in VO conditions, and to 21 normal subjects and 11 hearing-impaired subjects in VO and AV (+5, +10, +15 dB SL) conditions. Subjects were asked to identify sentences in VO and AV conditions. KS sentence lists of 10 everyday sentences were determined based on keyword accuracy. Auditory and visual enhancements were also calculated. Results: 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tence lists, and post hoc tests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four lists were determined to be equivalent: List 1, 3, 4, and 6. Subjects with hearing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VO and +5 dB AV conditions, while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ha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15 dB AV condi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ed are more reliant on visual speech information than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but have been shown to develop their speech-reading ability along with auditory information. Therefore, speech recognition should be obtained in AV conditions as well as in AO conditions for clinical use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recommendation and rehabilita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종현(Jonghyun Kwak),최재희(Jaehee Choi),장현숙(Hyunsook Jang). (2019).Sentence Recognition Performance in Visual-Only and Auditory-Visual Conditions by Normal and Hearing Impaired Adult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4), 1077-1086

MLA

곽종현(Jonghyun Kwak),최재희(Jaehee Choi),장현숙(Hyunsook Jang). "Sentence Recognition Performance in Visual-Only and Auditory-Visual Conditions by Normal and Hearing Impaired Adult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4(2019): 1077-10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