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iscriminating the Validity of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for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 ROC Curve Analysis

이용수 29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재옥(Jaeock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4, 1026~1039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아동용 조음기관 구조·기능 선별검사(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를 이용하여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을 변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3-12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20명과 일반아동 20명이었다. 각 집단은 13명의 남아와 7명의 여아로 구성되었고, 평균 연령은 4.75세였다. 대상 아동에게 SMST-C의 ‘조음기관 구조·기능’, ‘발성·음성·조음선별’, ‘조음교대운동’을 평가하여 총점수를 산출하였고, /퍼/, /터/, /커/, /러/, /겅/의 교대운동속도와 /퍼터커/의 일련운동속도인 조음교대운동속도(diadochokinetic [DKK] rate)를 평가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절단점을 산출하였다. 결과: 말소리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총점수, ‘조음선별’ 점수, ‘조음교대운동’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은 /퍼/, /커/, /겅/, /퍼터커/의 DDK 속도도 유의하게 느렸다. 그러나 ‘조음기관 구조·기능’ 점수와 ‘음성’ 점수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ROC 곡선 분석 결과, ‘조음교대운동’ 점수(area under curve [AUC]=.879), ‘발성·음성·조음선별’ 점수(AUC=.864), 그리고 총점수(AUC=.846)가 말소리장애를 변별하는 진단적 유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에 대한 SMST-C의 양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SMST-C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말소리 산출 기전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되며, 임상에서 말산출 기전의 이상이 있는 아동을 변별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 can discriminate betwee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and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Methods: Twenty-four children with SSD and 20 with TD from 3 to 6 years of age participated. Each group included 13 boys and 7 girls (mean age, 4.75 years). They were assessed using the SMST-C, which consists of a total score derived from structure/function, phonation/voice/articulation, and diadochokinesis (DDK) scores and DDK rates. DDK rates are alternative motion rates (AMRs) of /phʌ/, /thʌ/, /khʌ/, /lʌ/, and /kʌŋ/ and sequential motion rates (SMR) of /phʌthʌkhʌ/. These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cutoff value of each variable to discriminate between two groups was determined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es. Results: The SMST-C scores of the SS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otal, articulation, and DDK when compared with children with the TD. DDK rates of /phʌ/, /khʌ/, /kʌŋ/, and /phʌthʌkhʌ/ were significantly slower in the SSD group.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structure/function and voice scores. ROC analyses showed DDK score (area under curve [AUC]=.879), phonation/voice/articulation score (AUC=.864), and total score (AUC=.846) had higher discrimination accuracy for classifying SSD with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quantified data regarding the validity of the SMST-C in children with SSD. The SMST-C is helpful to screen the speech mechanisms of children with SSD. Therefore, the SMST-C can be used in clinics to screen children with pathological speech mechanism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옥(Jaeock Kim). (2019).Discriminating the Validity of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for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 ROC Curve Analysi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4), 1026-1039

MLA

김재옥(Jaeock Kim). "Discriminating the Validity of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for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 ROC Curve Analysi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4(2019): 1026-10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