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mprehension of Spatial Nouns Using a Locative Case Marke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이용수 122

영문명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조사‘-에’를 활용한 공간명사의 이해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최성이(Sungyi Choi) 이희란(Hee Ran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4, 868~880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조사 ‘-에’를 형태통사적 단서로 활용하여 새로운 공간명사 이해하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만 5-6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으로 총 30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 ‘-에’를 활용한 공간명사 이해능력을 단순구성 과제와 다중구성 과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두 유형의 과제를 통해 수행력을 분석한 결과, 단순구성 과제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도 일반아동 집단과 마찬가지로 적절할 공간 관계 장면을 선택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중구성 과제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제시되는 사물의 수가 많아 복잡한 다중구성 과제에서 조사 ‘-에’를 단서로 새로운 명사의 의미를 ‘위’, ‘아래’, ‘앞’, ‘뒤’와 같은 공간명사로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공간명사 이해의 어려움을 빠른연결하기의 제한과 형태통사적 자동처리의 어려움 그리고 관련 요인들을 연결 지어 해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어휘중재를 위해서는 어휘의 의미에 초점을 둔 중재와 더불어 문법형태소, 문장구조와 같은 형태통사론적 측면의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rphosyntactic cues using a locative case marker to infer the meaning of spatial nouns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5 SLI children, aged 5 to 6 years, who were compared to 15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matched for age. This study examined the ability of comprehension of spatial nouns using the case marker ‘-ey’ in two groups of children through a simple composition task and a multiple composition task. Results: In the simple composition task, the group of children with SLI could choose the appropriate spatial relationship scene as well as the TD group. However, in the multiple composition task, the SLI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TD group. Conclusion: The SLI group was more difficult than TD group to interpret the meaning of new nouns into spatial nouns with cue to ‘-ey’ in the complex multiple composition task. In this study, we interpreted the limitations of fast mapping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spatial nouns in children with SLI, the difficulties of morphological syntactic bootstrapping, and related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children with SLI, an effective vocabulary intervention is required. This involves a clinical intervention focusing on syntactic aspects, such as grammatical morphemes, sentence structure, as well as focusing on the meaning of word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이(Sungyi Choi),이희란(Hee Ran Lee). (2019).Comprehension of Spatial Nouns Using a Locative Case Marke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4), 868-880

MLA

최성이(Sungyi Choi),이희란(Hee Ran Lee). "Comprehension of Spatial Nouns Using a Locative Case Marke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4(2019): 868-8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