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First to Third Graders

이용수 20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하승희(Seunghee Ha) 소금빈(Geum-Bin So)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4, 1007~101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단어의 음운구조를 알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음운인식은 초기 읽기 능력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음운인식은 아동의 연령뿐만 아니라 아동의 말·언어, 인지, 환경과 긴밀한 관계를 보이며 발달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인식과 말·언어, 인지,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음절과 음소 수준에서의 음운인식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인 1-3학년 아동 총 128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수용 및 표현어휘, 조음, 인지 영역에서의 검사를 실시하고, 아동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음운인식 과제에서 음절점수와 음소점수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고, APAC 원점수, REVT 수용 및 표현점수, K-CTONI-2 도형과제점수, 사회경제적 수준, 학년을 독립변수로 하여 상관분석과 단계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음절과 음소 수준 모두에서 음운인식은 APAC 원점수, REVT 수용과 표현점수, K-CTONI-2 도형과제점수 및 연령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음절 수준에서는 아동의 REVT 수용점수와 APAC 원점수가, 음소 수준에서는 REVT 표현점수, K-CTONI-2 도형과제점수와 학년이 음운인식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인식은 수용 및 표현어휘력, 조음능력, 인지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달해 나감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honological awareness is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manipulate the sound structure of spoken words and shows a strong relationship with early literacy. Children’s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is affected by speech-language skills, intellige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lated factors; including speech-language skills, nonverbal intelligence, and social-economic status (SES) in 1st to 3rd graders and to identify which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 phonological awareness. Methods: A total of 128 1st to 3rd-grade students received a phonological awareness test, articulation and phonology test,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s, and nonverbal intelligence test. Information about the SES for each child was also obtaine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were performed to examine which factors predict phonological awareness at the syllable and phoneme levels among articulation and phonology ability,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nonverbal intelligence, SES and grade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ceptive vocabulary and articulation, and phonology ability predict significantly phonological awareness at the syllable level. Also, expressive vocabulary and nonverb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predict phonological awareness at the phoneme level.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honological awareness develops during the early primary school years, and shows close relationships wi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rticulation and phonology ability, and intelligenc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승희(Seunghee Ha),소금빈(Geum-Bin So). (2019).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First to Third Gra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4), 1007-1014

MLA

하승희(Seunghee Ha),소금빈(Geum-Bin So).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First to Third Gra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4(2019): 1007-10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