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Role of Reading Automaticity and Prosody in Read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2-4

이용수 11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지연(Ji Yeon Lee) 김영태(Young Tae Kim) 강진경(Jin Kyung Ka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4, 894~905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2-4학년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읽기 자동성과 읽기 운율성 평가를 실시하여 학년에 따라 읽기 자동성과 운율성이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25명, 3학년 24명, 4학년 27명으로 총 76명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읽기이해,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읽기 자동성, 읽기 운율성(구두점 주의, 부적절 휴지, 평서문 끝에서의 음도변화, 의문문 끝에서의 음도변화), 어휘를 검사하고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2학년과 3학년의 읽기이해 예측 변인은 읽기 자동성으로 나타났고, 4학년은 2, 3학년과 달리 어휘와 읽기 운율성 요소인 부적절 휴지가 읽기이해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년에 따라 읽기이해를 예측할 수 있는 읽기 유창성 요소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령기 아동의 읽기 유창성 평가 시 자동성 평가뿐 아니라 운율성 평가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며 학년에 따라 주의 깊게 봐야 할 읽기 유창성 요소가 다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Reading fluency has been traditionally assessed by reading automaticity (accuracy and speed), however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prosody is another critical dimension. Previous studies found that reading fluency is strongly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effect of reading fluency on reading comprehens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participants’ school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reading automaticity and prosody to reading comprehension across grades. Methods: Seventy-six elementary school children (25 in the second grade, 24 in the third grade, and 27 in the four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to evaluate reading automaticity, reading prosody (attention to punctuation, inappropriate pause, declarative sentences - F0 change, questions - F0 change),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variables which can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Results: The variable which could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was reading automaticity among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s. In the fourth grade, however, the variables which could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were vocabulary and inappropriate paus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dictive power of reading automaticity and prosody for reading comprehens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participants’ school grade and that it is necessary to assess both automatic and prosodic dimensions to measure the reading fluency of school-aged childre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연(Ji Yeon Lee),김영태(Young Tae Kim),강진경(Jin Kyung Kang). (2019).The Role of Reading Automaticity and Prosody in Read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2-4.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4), 894-905

MLA

이지연(Ji Yeon Lee),김영태(Young Tae Kim),강진경(Jin Kyung Kang). "The Role of Reading Automaticity and Prosody in Read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2-4."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4(2019): 894-9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