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태원의 자작삽화 연구

이용수 115

영문명
A Study on Park Tae-won’s Own Illustration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정화(Kim, Jung-hwa)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8권 5호, 411~43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0.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30년대 대중문화의 확산은 ‘시각화’를 중심으로 확대되었다. 영화와 같은 영상매체 뿐만 아니라 텍스트로 구성된 인쇄매체 역시 독자들에게 볼 수 있는 이미지를 양산해냈기 때문이다. 특히 인쇄매체의 경우 텍스트라는 문자 해독의 단계를 거치지 않는 이미지 생산을 통해 대중의 관심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인쇄매체에서 문자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삽화였다. 각 신문사에는 전문 삽화가가 소속되어 있었고, 신문의 모든 이미지를 생산해냈다. 신문연재 소설 역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에 맞는 그림을 삽화가가 담당하여 그리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작가와 삽화가의 역할이 구분되어 있었다. 하지만 박태원은 텍스트와 이미지의 창작을 모두 감행한다. 자신의 소설에 삽입되는 삽화를 직접 그린 것이다. 박태원의 예술적 관심의 투영으로도 볼 수 있지만, 박태원의 자작 삽화는 작가가 작품을 어떠한 의도와 기법을 통해 시각화하였는지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태원의 자작삽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박태원이 직접 그린 삽화에 주목하였다. 박태원이 직접 그린 삽화는 「적멸」(1930), 「반년간」(1933), 「제비」(1939)로 모두 세 편이다. 삽화는 문학 텍스트를 이미지로 시각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텍스트의 시각화에 대한 모든 권한은 삽화가에게 있었다. 텍스트의 내용을 어떠한 기법으로 그릴 것인가에 대한 삽화의 방향성은 삽화가의 영향과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소설의 내용이나 등장인물, 배경, 서사 등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의 문제는 삽화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표현 및 구성된다. 그러므로 박태원의 자작삽화를 살펴보는 작업은 작품과 삽화의 관계, 그리고 텍스트를 작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시각화하고자 했는지에 대한 의도까지 파악할 수 있다. 박태원이 자신의 소설을 이미지로 구축하고 형상화하는 방식을 통해 그의 문학세계에서 삽화가 갖는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dissemination of popular culture in 1930s was expanded focusing on ‘visualization.’ Not only video media like movies but also text-composed print media managed to mass produce images that readers could see. In particular, in case of print media, it was possible to attract popular attention by producing images without going through an interpretation stage as in letters. In print media, a representative way of converting letter texts to images was illustrations. In newspaper companies, there were associated professional illustrators, and they produced every image in the newspaper. Also, as for novels appearing serially in newspapers, since the illustrators were in charge of drawing illustrations fit for the content and composition, even though writers and illustrators had distinguished roles. However, Park Tae-won did carry out the creating works of texts and images for himself. He himself drew his illustrations inserted in his novels. They could be seen as a cast shadow of his artistic concerns, but Park Tae-won’s own illustrations provided an important clue to explore through what intention and technique he visualized his work.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his own illustrations. Thu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Park Tae-won’s own illustrations. The illustrations directly drawn by Park Tae-won appeared in his three works including Jeokmyeol (1930), Bannyeongan (1933) and Jebi (1939). Illustrations were part of a work visualizing literary texts into images, all the authority to have texts visualized in images belonged to illustrators. The directivity of illustrations how the content of text was drawn had to vary according to the influence and propensity of illustrators. Such matters as how the contents, characters, background and narratives of the novel were expressed and compos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illustrators. Therefore, to explore Park Tae-won’s own illustrations was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the work and its illustrations, and with what ways the author intended to visualize texts in his work. Through his way of constructing and embodying his novels with images, we can find the meaning of his illustrations in his literary world.

목차

1. 서론
2. 자작 삽화의 서술 배경
3. 박태원 삽화 분석
3.1.「 寂滅」
3.2.「 半年間」
3.3.「 제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화(Kim, Jung-hwa). (2016).박태원의 자작삽화 연구. 문화와융합, 38 (5), 411-435

MLA

김정화(Kim, Jung-hwa). "박태원의 자작삽화 연구." 문화와융합, 38.5(2016): 411-4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