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새로 발굴된 한문학 시가 자료의 동향과 전망

이용수 39

영문명
The Trend and Prospects of Excavating Materials of Sino-Korean Poetr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강지혜(Kang Ji Hy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8권 5호, 325~35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0.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2000년 대 이후 새로 발굴된 한문학 시가 작품을 소개 및 정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자료들을 지속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와 동시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자료들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여전히 발굴되지 않은 작품들이 있고 최근까지도 새로운 자료들이 나오는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자료의 발굴은 자료의 수를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의 자료를 다각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의미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새 자료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한문학 시가를 중심으로 그간의 자료 발굴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2000년대 발굴된 한문학 시가 자료를 텍스트로 삼아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새 자료를 살펴보았다. 각각의 논문을 살펴 새로 소개된 자료를 정리하고 그 내용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내용을 검토하기에 앞서 30여 개의 논문을 내용별로 분류하여 9가지 항목으로 나누었다. 그 항목은 다음과 같이 ‘다산, 황상, 석정, 김창희, 박영철, 사행록, 관동별곡, 희곡, 기타’로 정리하였다. 본고에서 소개된 자료들은 기존에 일려진 것과 다른 작품을 발굴하여 소개하기도 하고 그 동안 잘못 알려져 있거나 미정이었던 것을 밝혀내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새 인물에 대한 연구로 황상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의 저작물인 『치원소고』를 통해 교류한 인물을 파악하였고, 차에 대한 깊은 조예로 30여수의 차시를 남겼는데 이를 통해 19세기 차 문화를 살필 수 있었다. 또한 『견월첩』 연구를 통해 미정이었던 날짜 추정 및 공개된 자료 바탕으로 알 수 없었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고, 『다산선생진적』 서첩의 시 작품은 그동안 작자가 다산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으며 그의 아들 정학연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익찬공서치계첩』을 통해 죽란시사의 결성 시기를 1791년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조선 희곡 작품으로 『동상기』만이 알려졌었는데, 새로운 작품인 『북상기』와 『백상루기』를 발견 소개하여, 이를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당대 많은 희곡이 향유되고 창작되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2000년 이후 새로운 한문 시가자료들이 많이 발견되었다는 것은 자료의 다양성이라는 점 자체로 의미가 있으며 한문학 자료가 앞으로도 꾸준히 발굴될 수 있다는 자료의 양적 측면에서 기대를 품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기존 연구에 관련된 새로운 자료들은 새 자료를 통해 기존의 자료를 다른 관점에서 살필 수 있게 해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nd arrange works of Sino-Korean poetry that were newly introduced after 2000s. It is important to keep doing research in existing materials. And it is also important to excavate and investigate unknown materials. Such examples are that there are still works that have yet to be excavated and that there are new materials found recently. Excavations of new materials not only increase the number of materials but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provide a chance to get multiple views of existing materials. Thus, the author intend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ew materials and identify the trend of finding materials in the meantime focusing on Sino-Korean poetry. This study examined new materials between year 2000 and year 2015 by taking materials of Sino-Korean poetry excavated in 2000s as a text. This study attempted to arrange newly introduced materials and review the contents of them by looking into each paper. Prior to reviewing the contents, this study classified 30 papers by the content into nine different items. The items are arranged as follows, “Dasan, Hwangsang, Seokjeong, Kim Chang-hee, Park Yeong-cheol, Sahaengrok, Ggwandongbyeolgok, plays, etc.”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is study are from some works different from what we have known so far and from some works that were mistakenly known and/or left in abeyance. For instance, with regard to studies on new figures, there is a lot of discussion on Hwangsang. This study identified those persons who exchanged themselves through his writing 『Chiwonsogo』, and he left 30 tea poems with deep attainments of teas, through which this study managed to explored the tea culture in the 19th century. Also, through doing research in 『Gyeonwolcheop』, this study found out what were used to unknown to us based on estimating the uncertain date and materials open to the public, and it was found that poetry works of 『Dasan-seonsaeng-Jinjeok』 had been mistaken for Dasan’s own poetry and that they were works of his son, Jeong Hak-yeon. The excavation of 『Ikchangongseochigyecheop』 has yielded an outcome that the formation period of Jukransisa was estimated to be in 1791 that had been unknown, and by finding and introducing 『Buksanggi』 and 『Baeksangnugi』, this study discovered a lot of plays possessed and created in those days, contrary to the fact that there has only been a Joseon play, 『Dongsangi』. As above,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 lot of materials of Sino-Korean poetry since year 2000 is meaningful in terms of diversity of materials and enables us to expect that there will be constant excavations of materials of Sino-Korean literature in future in terms of quantity of materials. Also, new materials related with existing studies can ignite to review existing materials through new materials in a different perspective.

목차

1. 서론
2. 2000년대 한문학 시가 자료의 발굴 동향
2.1. 발굴 자료의 목록
2.2. 발굴 자료의 분석
3. 결론 - 자료 발굴의 전망과 반성을 겸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혜(Kang Ji Hye). (2016).새로 발굴된 한문학 시가 자료의 동향과 전망. 문화와융합, 38 (5), 325-356

MLA

강지혜(Kang Ji Hye). "새로 발굴된 한문학 시가 자료의 동향과 전망." 문화와융합, 38.5(2016): 325-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