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재의 옛이야기 수록 방식의 문제점과 교육 방향

이용수 220

영문명
Aspects of Folk Stori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ducational Guidanc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은자(Lee, Eun-Ja)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8권 6호, 109~13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옛이야기 양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옛이야기의 한국어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옛이야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쉽고 재미있는 텍스트일 뿐 아니라 교육적 쓰임새에 맞게 고쳐쓰기가 가능한 구비문학이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옛이야기의 ‘구술성’은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교육적 활용도가 높다. 또한 현재의 상황에서 말로 실연(實演)되기 때문에 이야기 속의 전통문화와 구술의 현장에 반영된 현대문화를 모두 학습할 수 있는 좋은 텍스트이다. 뿐만 아니라 옛이야기의 보편성은 외국인 학습자의 흥미유발과 능동적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교재의 상당수가 옛이야기의 교육적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옛이야기가 무엇인지 그 개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조차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옛이야기 텍스트가 대부분 한국의 아이들을 위해 쓰여진 전래동화 텍스트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는 점이고, 그조차 우리 옛이야기의 원형을 무시하고 무분별하게 각색된 이야기라는 점이다. 우리 옛이야기의 교육적 장점을 살려 언어와 문화 교육을 통합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우리 옛이야기를 아동을 위한 동화의 틀에 가두지 말고 온전한 모습의 우리 옛이야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의 각 단계에 맞게 ‘고쳐쓰기’가 필요하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옛이야기를 훼손하지 않아야 하고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 셋째, 옛이야기는 그 본질적 특성인 ‘구술성’을 활용하여 언어와 문화교육을 통합한 교수 학습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of folk stories col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aims to suggest how to use Korean folk storie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lk stories have various advantages over other literary works, not only because they are perceived easy or interesting by those who want to learn Korean, but also because they are ‘oral literature’ which can be easily modified for diverse educational purposes. The ‘orality’ of folk stories plays an efficient role in improving storytellers’ communicative skills. Also, folk stories become a good collection of text combining traditional culture melted in the original stories and contemporary culture reflected at the moment of storytelling. Besides, the universal features in the stories stimulate the language learner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a new language learning process. Above mentioned educational values can be realized when the folk stories are rewritten and fit into the educationally appropriate teaching stages. Regardless of those remarkable values of the Korean folk stories, the educational advantages of folk stories are not fully used in reality. It even seems that the concept of the folk stories is not clearly defined. Currently circulating textbooks simply borrow conventional fairy tales formulated for the taste of children. It limits the educational function of our folk stories and sometimes it even damage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folk stories. It is very necessary to plan a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which can integrate language and culture and maximize the educational merits of folk stories. In order to do so, first of all, we should be able to approach folk tales as literary works rather than framing them as children s simple fairy tales. Second, folk stories need to be modified to fit in adequate language teaching steps. In doing so, the authenticity of the stories should be well preserved. The source of the stories need to be identified. Third, the essential feature of folk stories, orality, should be emphasized to practi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tegrating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옛이야기의 한국어 교육적 가치
3. 한국어 교재의 옛이야기 수록 방식의 문제점
4. 맺음말: 한국어 교육에서 옛이야기 교육의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자(Lee, Eun-Ja). (2016).한국어 교재의 옛이야기 수록 방식의 문제점과 교육 방향. 문화와융합, 38 (6), 109-133

MLA

이은자(Lee, Eun-Ja). "한국어 교재의 옛이야기 수록 방식의 문제점과 교육 방향." 문화와융합, 38.6(2016): 109-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