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몽골의 산속 비교 연구

이용수 112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떠르지 재벤(Dorj, tse-veen) 구사회(Koo, sa-wha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8권 6호, 27~4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구분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출산의례라고도 하는 산속은 오래 전부터 민족마다 자신들의 선조로부터 전해 내려온 출산과 관련된 의례를 담고 있는 습속이다. 각 나라 전통 사회는 그 사회의 민족적 특질, 민족성, 사회 구조, 사상 등을 반영하게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몽골의 산속에 나타나는 특징은 차이를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의 출생의례는 절 ,지성과 같은 기자속은 물론이고, 산전속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태몽에 대한 내용이 많다. 반면에 몽골의 출생의례는 산전속에서는 임산부들이 가지는 음식과 행위와 관련된 금기어가 많으며 태어난 아이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내용이 많은 편이다. 한국과 몽골은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순수한 마음은 비슷하다. 산후속은 한국에서 아들과 딸의 상징을 구별하여 표시했는데 몽골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고 표시했다는 점이다. 육아속은 양국에서 아이를 위해 여러 행사를 중심으로 하는데 행사를 치를 때 가국의 특별한 예물이 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육아속은 백일날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식과 출생 후 일주년을 기념하는 돌날 까지를 말한다. 이에 비해 몽골의 육아속은 출생 후 3년 후에 비로소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례를 행하기 때문에 한국에 비해 길다. 한국의 출생의례를 보면 역신을 속이기 위하여 천한 이름으로 아명을 지어주는데, 몽골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역신을 기만하고 속여서 역신으로부터 어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식물의 이름이나 혐오스럽고 이상한 이름을 지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어린 아이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거쳐야만 하는 통과의례의 전이 단계인데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에서 공통적인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비교하면서 양국의 전통문화를 점검하고 한국과 몽골의 민속 문화만이 지닐 수 있는 상호간의 문화적 친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analyzes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by classifying it into Gijasok, Sanjeonsok and Sanhusok. From the past, Sansok is a tradition that contains ancestral ritual on the lifestyle and belief of each nation. It is confirmed that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reflected national characteristics, national identity, social structure and idea. The birth ritual in Korea has many contents on dream of the forthcoming conception of a baby as a key of Sanjeonsok as well as Gijasok like Chiseong. To the contrary, it was Sanjeonsok in Mongolia that has many taboos related to foods and behaviors of pregnant women. Both Korea and Mongolia are Gijasok having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As Sanhusok, in Korea the symbols of boy and girl were separated, but in Mongolia, it was not identified. Yukasok focuses on various events for children in both countries and the presents for event were different. In the birth ritual in Korea, child name was used to be devised in a humble name to protect child from Yeoksin. It was similar at Mongolia and they used to name the child in the name of animal or plant in a bizarre or horrible term. This study could find the affinity of both cultures by comparing culture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과 몽골의 산속과 문화적 배경
Ⅲ. 한국과 몽골의 산속에 대한 비교
1. 기자속(祈子俗)
2. 산전속(産前俗)
3. 산후속(産後俗)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떠르지 재벤(Dorj, tse-veen),구사회(Koo, sa-whae). (2016).한국과 몽골의 산속 비교 연구. 문화와융합, 38 (6), 27-47

MLA

떠르지 재벤(Dorj, tse-veen),구사회(Koo, sa-whae). "한국과 몽골의 산속 비교 연구." 문화와융합, 38.6(2016): 27-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