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적 식민지의 풍경과 지식인의 ‘부재의식’

이용수 348

영문명
Cultural Landscape of Colonial Seoul and Portrait of a Colonial Intellectual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배하은(Bae, Ha-eu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19집, 329~3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30년대 경성의 근대화와 도시화의 결과 식민지 조선이 처한 문화적인 피식민 상태를 훨씬 더 강렬하게 체감하게 된 지식인들은 ‘우월한’ 제국의 문화를 수용·추종하는 손쉬운 방식으로 열등감을 해소하기보다는, 식민지 조선의 문화적 열망을 정당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인의 역할과 임무에 대해 고민하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특별히 이 시기에는 식민지 조선의 문화 사업이 일부 거대 기업, 특히 내지 자본에 의해 주도되면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문화 창작·생산과 향유의 주체가 아닌, 제국 자본에 포섭되는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적 주체들이 양산되기 시작했다. 1930년대 말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 속에서 작동하는 제국의 이데올로기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문명화된 일본인’으로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하는 욕망을 제공하되, 그와 동시에 정치적인 억압과 사회적인 차별을 통해 그 욕망의 좌절을 선사하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종종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모던 보이·모던걸의 퇴폐와 향락은 이러한 욕망과 좌절의 토양에서 자라난 위험한 감수성이었다. 1930년대 후반 김남천과 이효석의 소설 작품에서 드러나는 기술과 교양의 가치중립성에 대한 관심과 매혹은 문화적 열망의 좌절이 불러오는 데카당스에서 벗어나 문화·예술의 창조성, 지적 열정, 삶의 풍요를 추구하고 경험할 수 있는 주체에 대한 모색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에로·그로·넌센스 따위의 대유행이 사상적 전망의 부재를 틈타 도덕적·예술적 가치와 규범, 이상을 사장시키는 가운데, 또 한편으로는 전시 체제가 커피와 홍차의 풍미조차 마음껏 즐길 수 없는 억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와중에, 기술과 교양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문화적 열망을 충족시 켜줄 수 있는 ‘신선하고 참신한 것’이자 ‘현대적인 매혹’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시대에 지식인이 맞닥뜨린 가장 큰 도전은 기술과 교양의 가치중립성이라는 새로 발견된 이 매혹적인 가능성을 체제 이데올로기적 실천이 아닌 방식으로 전유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였다. 그리고 김남천과 이효석의 소설은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일종의 시뮬레이션처럼 주인공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을 그러한 서사 속에 던져 넣고 인물들의 행로와 서사의 향방을 기록해 나가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김남천은 그러한 ‘가치중립적(이라고 여겨지는)’ 기술과 교양이 실상은 신체제의 이데올로기적 실천에 제도적으로 또한 담론적으로 동원되는 함정을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결국 그는「맥」에서 이관형이라는 인물과 그가 탐색하는 ‘부재의식’을 통해 욕망과 좌절이 혼재된 “낭비”의 세계를 탈출하되, 오시형의 다원 사관으로 대변되는 지배 체제의 담론적 구성물인 갈등과 고통이 해소된 주체의 자리 또한 사양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형상과 존재 방식에 관한 사유를 보여준다.

영문 초록

In the process of rapid modernization of Seoul(Gyeongseong) during the 1930s, colonial intellectuals painfully noticed cultural colonialism. Yet, they tried to perform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to satisfy the cultural desire of colonial Korea(Chosun), not embracing easily the superior culture of the empire of Japan. At that time, as the influx of Japanese capital into cultural business in the colony increased, the ideological subject interpellated by the capitalism of the empire appeared in the popular culture. During the late 1930s, the imperial ideology functioned in two ways: on one hand, providing cultural desires to the natives in the colony, on the other hand frustrating their desires by social(racial) discrimination and political oppression. The decadence and hedonism of so called “modern boys and girls” were originated in the very ideological mechanism of desire and frustration. In their novels, Kim Namcheon and Yi Hyo-seok show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and fascinated into technology and Bildung, which was a part of the project to explore a new agent with artistic creativity, intellectual passion, and vivid life. The phenomenon of so called “ero-gro-nonsense(the eroticism, the grotesque, and the nonsense)” disrupted the moral and artistic value, norms, and ideal in the late 1930s, while the Japanese wartime system was increasing the political oppression. In this situation, technology and Bildung were supposedly making a path to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desires in the colony. People considered them as something modern and fascinating, which might lead them to a cultural richness. Colonial intellectuals were challenged to appropriate technology and Building not for an ideological practice but for a possibility of value neutrality.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value neutrality, Kim Namcheon and Yi Hyo-seok performed a simulation of how their protagonists meet the challenging in their novels. As a result, Kim Namcheon found that the so called “value neutrality” of technology and Bildung were actually functioning as the ideological practice of the Japanese wartime system. In his novel, “Maeg(Barley)” he represented a prototype of the colonial intellectuals who rejected the place of an ideological subject and escaped from the decadence and the hedonism of the colony by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목차

1. 문화적 식민지의 이중 질곡
2. ‘기술·교양 시대’의 변전하는 지식인
3. 지식인의 ‘부재의식’-헨리 제임스와 그 너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하은(Bae, Ha-eun). (2018).문화적 식민지의 풍경과 지식인의 ‘부재의식’. 구보학보, 19 , 329-358

MLA

배하은(Bae, Ha-eun). "문화적 식민지의 풍경과 지식인의 ‘부재의식’." 구보학보, 19.(2018): 329-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