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금 이후 90년대 학술장의 변동

이용수 278

영문명
The Changes of Literary Circle in 1990s after Lifting of Ban on Literature -The Appropriation of Discourses of Modernity and Their Trace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이철호(Lee, Chul-ho)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19집, 9~3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맥락에서, 해금 이후 학술장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널리 알려진 대로, 해금 이후 학술장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변화는 무엇보다 북한/통일문학사 연구의 융성이었다. 이러한 민족문학사 연구의 붐은 근대 기점에 관한 논의와 더불어 시작되었다. 월납북 문인들의 작품과 북한문학사를 학술장 안으로 끌어들이는 과정에서 근대기점론은 불가피한 쟁점 중 하나였을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 지점에서 내발론과의 단절이 발생한다. 그것이 90년대 학술장에 일어난 첫 번째 해금 효과이다. ‘민족문학과 근대성’을 주제로 한 기념비적인 심포지엄에서 이선영과 최원식이 공유한 문제의식은 모더니즘을 겸비한 리얼리즘으로 요약된다. 그들에게 모더니즘은 존재하면서도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그 무엇이었는지도 모른다. 월북문인들의 해금자료가 더 이상 ‘리얼리즘의 축복’일 수만은 없는 순간이란 비로소 모더니즘이 이들의 시야에 들어오게 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렇듯 카프문학 연구자들에게 발생한 시각의 전도, 그것이 바로 두 번째 해금 효과이다. 70년대부터 리얼리즘을 두고 백낙청과 잠재적인 긴장관계를 형성 해온 김우창이 1990년 중반 이후 미적 근대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있어 주목된다. 김우창의 이광수론은 그 자신의 근대문학론을 되돌아보더라도 매우 이례적이다. 여전히「무정」을 가리켜 “실패한 작품”이라 평가하면서도 그 안에 포착된 감각적 인간의 출현에 주목한 것은 이 소설이 미적 근대성의 한 기원에 해당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은 앞선 두 번의 계기들이 연쇄적으로 교차하는 가운데 일어난 세 번째 해금 효과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nge of aspects in literary circle after the lifting of ban on literature considering three contexts. As is widely known, the first change in the literary area after the ban was the flourishing of researches on North and Uni-Korean literature. The increase of studies on national literary history started along with the discussion over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era’. During the process which literary works of writers abducted to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were included in the academic area, the introduction point of ‘Modern era’ would be one of inevitable issues to deal with. However, the discussion on the ‘Modern’ bred the severance of ‘The Internal Progress Theory’. This was the first effect of lifting of ban on literature in 1990s. The awareness shared with Lee, Sun-young and Choi, Won-sik in the monumental symposium under the theme of ‘National Literature and Modernity’ was summarized as ‘realism combined with modernism’. To them, Modernism was a kind of something that exist and actually does not exist as well. The moment in which literary works by the defected to North were no more ‘a bliss of realism’ almost coincides with the modernism comes into their sight for the first time. The transition of viewpoint which had occurred to researchers on KAPF literature was the second effect of lifting of ban on literature. From 1970s, Kim, Woochang who had made potential tense relation with Baek, Nak-cheong on the matter of realism attracts public attention by intensively researching on the matter of aesthetic modernity. The theory of Lee, Gwangsoo by Kim, Woo-chang is highly exceptional in reflecting the theory of modern literary of his own. While evaluating Mujeong by Lee, Gwangsoo as ‘a failure’, the reason why Kim took special note of appearance of sensitive human in the novel is that the novel corresponded to the origin of aesthetic modernity. This is the third effect of lifting of ban while previous two motives cross sequentially.

목차

1. 내발론, 민족문학사, 근대기점론
2. 민족문학의 근대성론, 모더니즘의 재인식과 전유
3. 미적 근대성론과 그 이후
4. 90년대 문학연구와 ‘해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호(Lee, Chul-ho). (2018).해금 이후 90년대 학술장의 변동. 구보학보, 19 , 9-37

MLA

이철호(Lee, Chul-ho). "해금 이후 90년대 학술장의 변동." 구보학보, 19.(2018): 9-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