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노년문학과 말년성(lateness)의 지형학 - 노년문학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논의 확장을 위한 시론(試論)

이용수 244

영문명
Korean Old-age Literature and Topography of Latenes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박대현(Park, Dae-hyu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9집, 387~42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노년문학 연구가 사회학의 하위학문인 노년학의 관점에 국한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노년학에 기댄 노년문학 연구에서 노년은 푸코의 ‘생명관리권력’(biopower)의 객체로 전락하고 마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 글은 신체적 연령이라는 단선적 기준을 넘어서기 위해 ‘말년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말년성’은 죽음을 마주보는 정서적 개념으로서 나이와 무관한 것으로 이해할수 있다. 이 개념은 ‘노년’을 청년과 대별되는 타자의 위치가 아니라, 청년과 노년을 포괄하는 실존의 위치로 옮겨오도록 한다. 말년성의 지형학은 4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① <육체=청년> & <사 유=청년>, ② <육체=청년> & <사유=말년>, ③ <육체=말년> & <사유 =말년>, ④ <육체=말년> & <사유=청년>. 육체와 정신이라는 두 개의 축이 교차됨으로써 만들어진 4가지 유형은 한국 노년문학을 조망할 수있는 ‘말년성’의 지형학을 구성한다. 이것은 노년을 타자화된 자리에서 벗어나도록 고안된 지형학이면서, 근본적으로는 노년문학의 좁은 범주를 벗어나 ‘말년성’이라는 죽음의식과, 그것에 반응하는 문학의 정신성으 로써 한국현대문학사를 규명하고자 하는 방법론적 시론(試論)에 해당한 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arts with a critique of the fact that the studies on Korean old-age Literature are limited to the viewpoint of sociology, a sub-discipline of sociology. Because studies on old age literature, relying on gerontology, tended to fall into object of Foucault s “biopower”.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ncept of “lateness” to go beyond the monotonic standards of physical age. ‘Lateness’ is an emotional concept that faces death, and is not related to age. Therefore, “old age” should be shifted to the position of existence encompassing youth and old age, not the position of the other who is excluded from youth. The topography of ‘lateness’ consists of four types. ① & , ② & , ③ & , ④ & . The four types created by crossing the two axes of body and mind constitute the topography of the “lateness” that can see the Korean old-age literature. This is a topography designed to get old age out of the other s position. At the same time, it fundamentally goes beyond the narrow category of old-age literature, and corresponds to a methodological viewpoint that seeks to identify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through the death consciousness of ‘lateness’ and the spirituality of literature responding to ‘lateness.

목차

1. 서론: “고령화 사회” 너머의 노년 문학
2. 노년문학연구에 작동하는 생명관 리권력(biopower)과 대안 개념으 로서의 말년성
3. 육체와 정신의 ‘말년성’에 따른 노년문학의 4가지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대현(Park, Dae-hyun). (2018).한국노년문학과 말년성(lateness)의 지형학 - 노년문학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논의 확장을 위한 시론(試論). 한국문학논총, 79 , 387-423

MLA

박대현(Park, Dae-hyun). "한국노년문학과 말년성(lateness)의 지형학 - 노년문학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논의 확장을 위한 시론(試論)." 한국문학논총, 79.(2018): 387-4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