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Effect of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on Reading Comprehension in Grade 1–4

이용수 25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Hyojin Yoon(윤효진) Soyeong Pae(배소영) Bhu Ja Chung(정부자)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2, 519~52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1-4학년의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어휘지식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어휘지식의 양적 측면은 수용어휘, 깊이적 측면은 어휘관계와 정의하기를 측정하여 각 어휘지식이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방법: 초등 1-2학년 43명과 초등 3-4학년 51명으로 총 9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아동의 비구어성 지능지수는 70점 이상이었다. 읽기이해검사 형식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이 달라진다는 선행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문답형식과 빈칸 채우기 형식의 두 읽기이해검사를 실시하여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은 수용어휘, 어휘관계, 정의하기의 세 가지 어휘지식으로 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1-2학년에서는 두 읽기이해검사 모두에서 정의하기와 어휘관계가 설명력이 있는 어휘지식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3-4학년에서는 짧은 지문을 읽은 후 대답하는 문답형식의 읽기이해검사에서는 정의하기가, 빈칸 채우기 형식의 읽기이해검사에서는 정의하기와 수용어휘가 설명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전반적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정의하기, 어휘관계와 같은 어휘지식의 깊이 측면이 읽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지식의 깊이가 깊을수록 텍스트 내의 개별어휘를 활발하게 활성화하여 효과적인 읽기이해를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in reading comprehension.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ich vocabulary knowledge (including receptive vocabulary, word associations and definitions) would influence on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Forty-three children in grades 1-2 and 51 children in grades 3-4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children obtained 70 or higher on the nonverbal intelligence test. All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two reading comprehension tasks, and three vocabulary tests including receptive vocabulary, word associations, and word definitions. Because different reading comprehension formats would have different components affecting the contribu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an open-ended question format and cloze task format were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vocabulary knowledge explained the two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Results: In grades 1 and 2, word association and definition accounted for the unique variances in each reading comprehension task. In grades 3 and 4, definition explained the variance in each comprehension task. Receptive vocabulary accounted for additional variance only on cloze-format reading comprehen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ed vocabulary knowledge would be an important key for text comprehension. Specifically, depth of vocabulary is more important for reading comprehension than depth breadth of vocabulary.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ojin Yoon(윤효진),Soyeong Pae(배소영),Bhu Ja Chung(정부자). (2018).The Effect of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on Reading Comprehension in Grade 1–4.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 519-527

MLA

Hyojin Yoon(윤효진),Soyeong Pae(배소영),Bhu Ja Chung(정부자). "The Effect of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on Reading Comprehension in Grade 1–4."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2018): 519-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