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ffect of Working Memory and Exposure to the Symbols on Sentence Construction using AAC Graphic Symbols

이용수 24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Sangeun Shin(신상은) Heeyoung Park(박희영)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2, 392~40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그림상징의 배열조건에 따라 언어적/비언어적 작업기억능력과 상징에 대한 노출횟수가 문장구성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32명의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고정과 비고정배열조건에서 자극문장(명사-부사-동사)에 대한 목표 상징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였고, 피험자들의 정반응수와 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 작업기억능력은 숫자와 공간의 역순 기억과제를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어적/비언어적 작업기억능력은 반응속도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징배열의 고정성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작업기억의 유형이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고정배열에서는 언어적 작업기억이, 고정배열에서는 비언어적 작업기억이 더 높은 예측설명력을 보여주었다. 반응속도에 대한 노출횟수의 효과는 두 배열조건 모두에서 유의하였으나 고정배열이 비고정배열보다 노출에 따른 반응속도의 감소율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상징 위치를 고정시켰을 때 비언어적 작업기억이 작용하여 효과적인 상징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징과 그 위치에 대한 학습효과를 통해 반응시간의 단축이 도모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AAC 사용자들이 상징을 선택하는 속도의 향상을 통해 원활한 쌍방향의 의사소통을 개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울러 효과적인 상징배치에 대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임상적인 의의를 갖는다. 추후연구에서는 상징의 배열조건에 따라 중증장애인들의 AAC 수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정상인의 자료와 비교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verbal/non-verbal working memory skills and the exposure to graphic symbols of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 the context of a sentence construction task with a fixed/ non-fixed array of AAC symbols. Methods: Thirty-two healthy young adults (26.75±7.05 yea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were asked to locate the target symbols in a given order (noun-adverb-action verb) for the sentence stimuli which were presented visually with written words on the computer screen. The symbols were presented in two conditions: a fixed array and a non-fixed array. The working memory skill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verbal (backward digit span) and visuospatial (backward matrix) working memory tasks.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was analyzed using accuracy and response times. Results: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verbal and non-verbal working memory only affects response time. Moreover, working memory contributed differently to the task depending on the array type: the non-verbal working memory primarily predicted the response times in the fixed array condition, which was not the case in the non-fixed array condition. Conclusion: The exposure to the symbols significantly reduced the response time and the reduction rate was three times higher in the fixed condition compared to the non-fixed condition.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by using a fixed array of symbols are discuss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angeun Shin(신상은),Heeyoung Park(박희영). (2018).Effect of Working Memory and Exposure to the Symbols on Sentence Construction using AAC Graphic Symbol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 392-403

MLA

Sangeun Shin(신상은),Heeyoung Park(박희영). "Effect of Working Memory and Exposure to the Symbols on Sentence Construction using AAC Graphic Symbol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2018): 392-4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