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rrelation among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in Third to Fourth Grades

이용수 27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Hyo-Jung Han(한효정) Mibae Kim(김미배)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2, 347~35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의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능력을 살펴보고 읽기와 쓰기를 설명하는 요인들 중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형태소인식능력이 읽기와 쓰기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16명, 학년과 지역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6명, 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형태소인식검사는 합성, 파생으로 살펴보았다. 읽기유창성과 철자쓰기는 한국어 읽기검사(KOLRA)의 읽기유창성, 받아쓰기를 사용하였으며 읽기유창성은 속도와 정확성으로 살펴보았고 철자쓰기는 자소-음소 일치형 쓰기, 불일치형 쓰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능력이 일반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낮았다. 일반아동은 형태소인식능력과 읽기유창성, 철자쓰기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고 특히 파생은 속도와 일치형 쓰기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언어학습장애는 형태소인식능력과 읽기유창성, 철자쓰기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고 합성과 정확성, 일치형 쓰기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능력이 형태소인식능력과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일반아동의 경우 파생 능력이 자동적으로 읽기와 정확하게 쓰기에 영향을 미쳤고 언어학습장애는 형태소인식능력을 아직 정확하게 읽는 데에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읽기유창성, 철자쓰기의 결함을 언어능력과 연결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중재 계획을 설정할 때 형태소인식능력을 고려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re are several linguistic factors affecting reading fluency (RF) and spelling, particularly the factors called metalinguistic abilities such as phonological awareness (PA) and morphological awareness (MA). The 3rd and 4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re widely known as important periods for developing RF and spelling. Therefore, the study investigated how MA ability affects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primary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ty-two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16 students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LLD) and 16 typically-developing students (TD). The research used RF with accuracy and rate, spelling with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PGC) writing and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writing and MA. MA tasks were divided into compound and derivation. Results: First, the students with LLD showed prominently lower performance in MA tasks than TD students. Second, students with LLD showed slower speed and less accuracy in correspondent and non-correspondent writing tasks than TD students. Third, TD’s derivation correlated with RF, reading rate, spelling and PGC scores. In particular, derivative scores were correlated with reading rate. In the LLD group, accuracy was correlated with compound and overall production. Conclusion: TD students use MA to read automatically. This means TD students near the final stages of correspondent writing are influenced by their derivative abilities. Students with LLD also depend on their MA skills to read accurately, and therefore fail to read fluently.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o-Jung Han(한효정),Mibae Kim(김미배). (2018).Correlation among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in Third to Fourth Grade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 347-359

MLA

Hyo-Jung Han(한효정),Mibae Kim(김미배). "Correlation among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in Third to Fourth Grade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2018): 347-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