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honological Awareness in Term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Syllable Posi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이용수 17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Yumi Choi(최유미) Seunghee Ha(하승희)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2, 425~43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첫 음절과 끝 음절 확인 음운인식 과제를 통해 자극제시 방법 및 반응방법과 음절 위치에 따라 말소리장애와 일반아동 간에 수행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음운인식 과제 수행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필요한 기저능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16명과 일반아동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3음절 의미 단어의 첫 음절과 끝 음절 확인 과제를 청각적, 시각적 자극으로 각각 제시하였다. 청각적 자극제시 및 반응은 검사자가 말로 과제를 제시하면 아동이 말로 반응하였고, 시각적 자극제시 및 반응은 검사어를 그림으로만 제시하고, 해당 그림을 아동이 지적하였다. 결과: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수행력이 일반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과제를 청각적 자극으로 제시하는 것보다 시각적 자극으로 제시하였을 때 음운인식 수행력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끝 음절 확인 과제보다 첫 음절 확인 과제의 수행력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말소리장애 유무와 자극제시 및 반응 유형, 음절 위치에 따라 음운인식 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자극제시 방법에 따른 음운인식 능력을 비교하는 것은 말처리 과정에서 어느 단계에 취약성을 보이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ccording to stimuli presentation methods and syllable positions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Sixteen children with SSD and 1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syllable words were presented using auditory and visual stimuli a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identify the first and final syllable in each word. For the auditory stimuli, each test word was presented only with oral speech. For the visual stimuli, each test word was presented as a picture, and children were asked to choose appropriate pictures for the task.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SSD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s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en tasks were presented visually,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in the visual stimuli condition than the auditory stimuli condition. Also,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in first syllable identification than final syllable identifica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timuli presentation methods and syllable position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with SSD may have limitations in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which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syllable position of the tasks. The comparison of performances between visual and auditory stimulus tasks will help identify where children may show weaknesses and vulnerabilities in the speech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suggests that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n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are needed for children with SS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Yumi Choi(최유미),Seunghee Ha(하승희). (2018).Phonological Awareness in Term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Syllable Posi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 425-435

MLA

Yumi Choi(최유미),Seunghee Ha(하승희). "Phonological Awareness in Term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Syllable Posi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2018): 425-4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