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nd without Comorbid Language Disorders

이용수 21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Mi-Jin Joo(주미진) Ji-Wan Ha(하지완)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2, 279~28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언어장애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시각과 청각의 자극 양식에 따른 지속주의과제 수행력을 비교하고, 수용어휘량, 표현어휘량, 자음정확도와 지속주의 수행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6세 말소리장애 아동 20명(순수 말소리장애 10명, 언어장애 동반 말소리장애 10명)과 일반 아동 20명이었다. E-Prime 소프트웨어로 숫자자극을 이용하여 시각적 및 청각적 지속주의과제를 제작하였다. 대상자들에게 개별적으로 실험을 진행한 후, 지속주의 정반응 점수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순수 말소리장애 집단과 언어장애 동반 말소리장애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지속주의과제의 정반응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언어장애 동반 말소리장애 집단의 경우 반응시간도 일반 집단보다 유의하게 느렸다. 자극 양식에 따른 정반응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반응시간에서는 집단에 상관없이 시각 과제가 청각 과제보다 유의하게 빨랐다. 일반 집단에서는 지속주의 수행력과 수용어휘량, 표현어휘량, 자음정확도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말소리장애 집단의 경우 자음정확도는 시각과 청각 지속주의과제의 정반응 점수와, 표현어휘량은 청각 지속주의과제의 정반응 점수와 유의하게 상관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말소리장애와 관련한 요인으로 지속주의 결함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말소리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 및 표현어휘 발달과 주의력 간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lthough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reading disorders exhibit sustained attention defici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pure SSD),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comorbid language disorders (SSD+LD), and typically developing (TD) peers on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tasks. Methods: Both visual and auditory tasks were used to assess sustained attention in 20 6-year-old children with SSD (10 pure SSD, 10 SSD+LD) and 20 TD age-matched controls. The accuracy score and response time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among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izes, accuracy of articulation, and performance of tasks was examined. Results: The pure SSD group and SSD+L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on both visual and auditory tasks than the TD group. The response time of the SSD+LD group was significantly slower on both tasks than the TD group. The response time of the auditory task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at of the visual task in all groups. In the SSD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curacy of articulation and visual/auditory sustained atten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ve vocabulary size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nclusion: Children with SSD with and without LD have reduced attention skills that could contribute to speech sound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tention difficulties could be one of the underlying factors of the speech sound impairment in children with SS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Mi-Jin Joo(주미진),Ji-Wan Ha(하지완). (2018).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nd without Comorbid Language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 279-287

MLA

Mi-Jin Joo(주미진),Ji-Wan Ha(하지완).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nd without Comorbid Language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2018): 279-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