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Narrative Macrostructure of School-Aged Children under Different Picture Tasks

이용수 14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Jung Mee Kim(김정미) Sung Eun Hwang(황성은) Hyo Seon Kim(김효선)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2, 255~26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이야기 평가 시 이야기 과제의 주제와 자극제시방법은 아동이 산출하는 이야기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주제와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1학년, 3학년, 5학년 아동들의 이야기 산출을 비교하고, 세 가지 다른 과제 조건에서 아동들의 이야기 문법 산출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학년, 3학년, 5학년, 총 48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야기 주제에 따른 이야기 산출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일상과 상상을 주제로 구성한 한 장 그림을 이용하여 아동들이 꾸며말하기 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극 제시방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 장 그림과 13장짜리 연속그림 과제를 보고 꾸며말하기를 실시하였다. 아동들의 수행은 이야기 문법 모델을 기반으로 한 루브릭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년과 이야기 주제와 제시방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학년을 피험자 간 변수로 하고, 주제와 자극제시방법을 각각 피험자 내 변수로 한 혼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년과 이야기 주제에 따른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과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각 과제에 따른 이야기 문법 범주의 산출은 대체로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계기사건, 시도, 결과보다 내적반응과 내적계획 및 반응은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이야기 평가 시 대상아동의 학년뿐 아니라 이야기를 유도하는 이야기 그림의 주제와 제시방법에 따라 이야기 산출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ictional narrative macrostructure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across two types of narrative themes (everyday life and fantasy) and elicitation stimuli conditions (single pictures and picture sequences). Methods: A total of 48 typically develop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 1, grade 3, and grade 5 produced narratives in response to two kinds of visual conditions: single pictures and picture sequences. The single picture tasks consisted of pictures with two different themes: everyday life and fantasy. The spoken narratives were transcribed and scored according to the rubric using the story grammar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grades and types of narrative themes. The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fantasy stories than in everyday life stories. Second, there were main effects of grades and elicitation stimuli conditions. Third, the scores of Initiating events, attempts, and conclus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internal responses, internal plans, and reactions in three different elicitation stimuli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narrative themes and elicitation stimuli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the narrative performance of school-aged childre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ung Mee Kim(김정미),Sung Eun Hwang(황성은),Hyo Seon Kim(김효선). (2018).Narrative Macrostructure of School-Aged Children under Different Picture Task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2), 255-269

MLA

Jung Mee Kim(김정미),Sung Eun Hwang(황성은),Hyo Seon Kim(김효선). "Narrative Macrostructure of School-Aged Children under Different Picture Task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2018): 255-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