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슬산 大見寺의 역사적 변천 연구

이용수 174

영문명
The Study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Daegyunsa in Biseul Mountai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정동락(Jung, Dong-lak)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2집, 345~37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大見寺는 신라하대인 憲德王때 창건된 왕실 사찰이었다. 신라의 王京이 아닌 지방에 건립된 지방 사찰이자, 비슬산 정상부에 건립된 山頂가람이었다. 대견사는 倭賊을 진압하고, 전통적인 山岳신앙을 습합하며, 국가의 재난을 물리치기 위한 기도처로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다. 고려시대의 대견사는 禪宗사찰로, 비슬산 일대를 대표하는 중심 사찰이었다. 그러면서 밀교 혹은 문수신앙과도 밀접한 사상 경향을 지녔다. 특히, 普覺國師一然의 주석처라는 점에서 당대의 名刹로 평가할 수 있다. 조선 초기에는 天台宗의 法華신앙에 의거한 觀音신앙의 중심지였다. 발굴조사 결과 法堂과 主佛(石造觀音像)이 방향을 달리하는 독특한 배치양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대견사는 『조선왕조실록』에 두 차례 수록될 정도로 비슬산을 대표하는 사찰로 재평가되었다. 임진왜란의 피해를 입었으나, 다시 중창되면서 전성기를 맞기도 하였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皇室의 願堂으로 잠시 빛을 보지만, 抗日사찰이라는 혐의로 일제에 의해 폐지되고 말았다. 대견사는 창건 이래 일제강점기까지 국가 또는 왕실과 운명을 함께하면서, 시대적 흐름 속에 다양한 신앙을 포용하였다. 불교를 매개로 국가와 왕실, 신도층을 하나로 묶고, 민중들에게 친숙한 신앙을 표방해 그들과 함께 호흡하였다. 대견사의 역사가 지닌 진면목이자, 앞으로 추구해야할 指南이다.

영문 초록

Daegyunsa was built as a royal temple during the rule of King Heondeok in the Silla Dynasty. It was a temple established in local area instead of Seoul and a unique temple built on top of the peak of Biseul Mountain instead of on flat ground. Daegyunsa played various roles such as fighting against Japanese invaders, adopting the elements of traditional belief in mountains, and serving as a venue for prayer to overcome national disasters. Daegyunsa during the Koryo Dynasty was a temple of Gajisanmun(one of the nine factions of Seonjong) and was settled as the central temple representing Biseul Mountain and the neighboring region. It had a belief system that was close to esoteric Buddhism and the belief in Manjusri. It can be evaluated as a prominent temple in the aspect that it was the temple where Bogakguksa Il-yeon mainly stay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the center of Avalokitesvara belief, the belief based on the faith in lotus sutra of Cheontae. Investigation on the site revealed a unique arrangement in the direction of Buddhist sanctuary and the stone Avalokitesvara Statue. It was reevaluated as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Biseul Mountain as it was mentioned twice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damaged during Japanese invasion but was rebuilt and basked in its prime days. During the Korean Empire, it was cherished as a royal venue for prayers but was clo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n charge of anti-Japanese temple. Since its establishment, Daegyunsa shared its fortune with the nation and the royal famil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embraced various beliefs in the flow of the time. It united the nation, the royal family, and Buddhists, advocated beliefs familiar to the public and coexisted with them. It is another valuable aspect of Daegyunsa and the direction it should pursue in the fu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하대 憲德王의 大見寺 창건과 그 배경
Ⅲ. 고려시대 대견사와 一然의 寶幢庵 주석
Ⅳ. 조선시대 대견사의 重創과 廢寺 과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동락(Jung, Dong-lak). (2016).비슬산 大見寺의 역사적 변천 연구. 민족문화논총, 62 , 345-371

MLA

정동락(Jung, Dong-lak). "비슬산 大見寺의 역사적 변천 연구." 민족문화논총, 62.(2016): 345-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