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정역』의 종교사회학적 의미

이용수 53

영문명
A Study on the Religious-Sociological Meaning of 『Jeung-York』 in the 19 Centur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철수(Kim, Chulsoo)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62집, 215~24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종교는 그 사회의 존재조건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전개된다. 근대 한국종교사의 걸출한 세 인물인 최수운과 김일부 그리고 강증산은 현재의 고난의 시대가 가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다는 희망의 믿음을 주고 있었다. 이들의 공통된 사상은 한 마디로 간명하게 축약할 때 ‘개벽’[다시개벽, 선후천교역, 후천개벽]이라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김일부는 개벽사상에 대한 이론적 체계화를 달성하여 종교지형의 심화와 양적 확대에 기여하였다. 정역사상의 근간은 선ㆍ후천 교역론, 곧 금화교역에 있었다. 김일부는 금화교역의 과정을 통해 상극에서 상생으로, 선천에서 후천으로, 세상이 전환됨을 밝혀주었다. 후천세계는 1년 360일의 시간질서로 완결되며 정음정양의 세상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개벽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정역에서 밝혀 준 점은 종교사회학적 의의를 갖는다. 19세기는 격동의 시대였다. 그만큼 새로운 세상의 도래를 알려주는 종교들이 전개되면서 조선조말 종교지형은 복잡하게 형성되고 있었다. 정역사상은 당시의 동학이나 증산사상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후천개벽 사상뿐만 아니라 후천의 상생사상, 상제사상, 정음정양 사상, 인간중심 사상, 한국중심주의 등으로 교리화가 진전됨으로써 종교지형의 질적 깊이를 심화시켜 주었다. 정역사상이 조선조 말 종교적 관심과 연계되었다는 점을 불편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도 있지만, 당시 민중들의 무력감이 확대되고 회복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절망 상태에서 정역은 종교적 임무를 완수하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hought of 『Jeung-York』 is centered on the ‘Hucheon-Gaebyeok(Opening of a New Beginning. Re-Beginning of Post-Heaven and Earth)’ on the advent of a new world. It was a religious alternative to overcome the whole difficulties, particularly the infiltration of Western powers, the horrific reality, and the state of anomie that the Chosun society faced in the 19th century.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actual meaning of Kim Il-bu(author of 『Jeung-York』)’s thought of the Gaebyeok which means, in fact, the ‘Interchange of Metal and Fir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concretely why and how the Gaebyeok is realiz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Interchange of Metal and Fire’ theory together with the contents analysis of 『Jeung-York』(Right Change). Kim Il-bu accepted the term ‘Gaebyeok’ proposed by a Chinese philosopher So Gang-jeol according to the theory of a cycle of the heaven and earth, and explained ‘Gaebyeok(Re-Beginning of Heaven and Earth)’ as the mutation toward ‘Right Change’ by accomplishing ‘Interchange of Metal and Fire’ theory, far different from the explanations of existing science of ‘Change’. And in according to Kim Il-bu, this time(today) is the timing of the replacement between Seoncheon(pre-heaven) and Hucheon(post-heaven). This thought has influence on the religious topography of that times.

목차

Ⅰ. 머리말
Ⅱ. 19세기 종교지형과 정역(正易)의 출현
Ⅲ. 정역의 주요 종교사상
Ⅳ. 정역의 종교사회학적 의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철수(Kim, Chulsoo). (2016).19세기 『정역』의 종교사회학적 의미. 민족문화논총, 62 , 215-246

MLA

김철수(Kim, Chulsoo). "19세기 『정역』의 종교사회학적 의미." 민족문화논총, 62.(2016): 215-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