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성 장애학생의 한글 깨치기 실행 연구

이용수 626

영문명
An action research on the Hangeul-learning of a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은혜(Jeong Eun Hy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2호, 223~2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어과 교육의 한 방법으로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한 자폐성 장애학생 에게 기초 문식성인 한글 깨치기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 행 과정을 통해 나타난 학생, 교사, 학부모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 소재한 Y초등학교에 입학한 1학년 자폐성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여름 방학을 제외한 매주 3회 40분씩 한글 깨치기 수업을 실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실행 연구에서는 음절표의 음절을 소리 내어 읽도록 하였고, 점차적으로 음 절표 중심의 의미 있는 글자를 읽고 쓰도록 지도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성 장애학생 은 받침 없는 한글을 깨우칠 수 있었고, 8칸 공책에 글자를 보면서 쓰기를 할 수 있 었다. 하지만 글자 쓰는 것에 집착하면서 반복적으로 쓰려고 하는 경향이 나타났으 며, 글씨를 너무 크게 쓰거나 손에 힘을 너무 쥐면서 글씨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실행 연구에서는 받침 있는 한글을 깨우칠 수 있도록 교과서 단원과 관련된 그 림책을 선정하여 한글 지도를 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성 장애학생은 받침 없는 한글 을 어느 정도 아는 순간 받침 있는 한글도 빠르게 익혀 나갈 수 있었다. 또한 연필을 바르게 잡고 적절한 크기와 비율로 글자를 쓸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폐성 장애학생의 한글 깨치기 경험을 통하여 초기 문식성 지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plan of a basic literacy Hangeul-learning, as a part of national language subject education, of a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who entered the 1st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nd exploring the changes in the student, teacher and parents of the student during the action research. A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who entered the 1st grade of Y Elementary School in Chungcheongnam-do attended a Hangeul-learning class of 40 minutes per class for 3 times a week from April to November of 2014 excluding summer vacation. The result was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ing. At the 1st action research, the student read the syllables in a syllable table aloud. Then the student gradually learned how to read and write some meaningful letters mainly in the syllable table. The result was that the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could learn Hangeul without final consonant and write letters from textbook in an 8-space notebook. However, the student showed the trend of being too much obsessed by writing and wrote the letters repeatedly. The student also wrote the letters too large and applied too much force on writing. At the 2nd action research, the student learned Hangeul with final consonant by way of a picture book related to the chapter in the textbook. The result was that the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could learn Hangeul with final consonant fast when the student learned Hangeul without consonant to some extent. The student could also hold the pencil in correct way and wrote letters at proper size and ratio.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result of the study proved the possibility of initial period literacy education on a student with autism disorder by way of Hangeul-learning exper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Ⅲ.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혜(Jeong Eun Hye). (2015).자폐성 장애학생의 한글 깨치기 실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2), 223-246

MLA

정은혜(Jeong Eun Hye). "자폐성 장애학생의 한글 깨치기 실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2(2015): 223-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