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수업 분류 준거 탐색에 관한 연구

이용수 97

영문명
A Study on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Integrated Instru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낙원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6권 2호, 21~4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바람직한 수업의 한 방향으로서 통합수업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여기서는 수업의 과정과 수업의 방법 차원에서 통합수업을 논의하려고 한다. 이러한 구체적인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서 통합수업의 개념을 정의하고, 통합수업의 원리등도 살펴보았다. 먼저 통합수업에 대비되는 획일적 수업에 대하여 문제점을 지적해 보고 통합수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통합수업의 특징을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통합수업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중심으로 통합수업의 의미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이끌어 내었다. 1) 통합수업은 독립된 수업을 합산해 놓은 것이다. 2) 통합수업은 통합교육과정에 사용되는 수업이다. 3) 통합수업만 통합적 인격을 지향한다. 4) 통합수업과 분절수업은 상반된 개념이다. 5) 통합수업은 절차적 지식을 독립수업은 선언적 지식을 다룬다. 6) 통합수업에서는 지시적 수업, 설명식 수업은 사용되지 않는다. 7) 통합수업은 창의적, 협동적, 촉진적 성격을 띠고 있다. 8) 독립수업보다 통합수업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통합수업이라고 판단되는 몇 가지 모형을 검토해보고, 이 모형들을 토대로 분류준거를 추출해 보았다. 즉 단일 수업과정상의 통합, 수업방법 안에서의 내적 통합, 방법과 방법간 통합, 구조적 통합, 총체적 통합 등이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는 수업과정상의 통합, 방법의 통합을 중심으로 수업의 통합을 논의하였는데, 이 외에 이론과 실제의 통합, 수업기능 영역별 통합, Team Teaching, 학습집단 조직의 통합, 매체와 방법의 통합, 더 나아가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사ㆍ학생ㆍ학부모ㆍ지역사회의 통합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integrated instruction as a way for improving the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unitary fragmented instruction.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especially was focused on the following contents : First, it aimed at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the standardized instruction, contrary to the integrated instruction. Second, it defined the concept, presented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instruction. Finally, it reviewed several models of integrated instruction and drawed the classified criteria based on them. That is, they are composed of integration of each element in process of instruction, inner integration within the way of instruction, integration of between the ways, structural integration and the whole integration. Besides, further researchers are needed to improve and consider in terms of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organization of learning community, media and teaching methods, furthermore integration of the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community to improv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통합수업의 정의 및 특징
Ⅲ. 통합수업의 분류 준거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낙원. (2006).통합수업 분류 준거 탐색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 (2), 21-49

MLA

권낙원. "통합수업 분류 준거 탐색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2(2006): 2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