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지향성에 따른 직업가치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학력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674

영문명
The Differences of Vocational Value Aware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ypes of Role Orientation of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Focusing on the differences of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언희(Kim, Un-Hee) 김병석(Kim, Byeong-seo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1호, 173~19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지향성에 따른 직업가치 인식과 진로준비 행동의 차이가 학력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에 차별화된 정보제공 및 진로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여성인력 개발센터, 그 외 각종 평생교육기관과 사회교육기관에서 자신의 진로모색을 하는 경력단절 여성들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19일~4월 9일에 거쳐 설문지를 배포, 수거하 였고, 최종적으로 총 377부가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경력단절 여성들은 일과 가정 영역의 중요성에 따라 ‘수퍼우먼형 역할지향’, ‘현모양처형 역할지향’, ‘잠재형’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력 차이에 따라 역할지향별 직업가치와 진로 준비행동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업가치 인식 측면에서는 대졸이하 집단의 경우 자기능력, 인간관계, 경제우선, 사회인식, 안정추구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대졸이상 집단에서는 자기능력, 사회헌신, 사회인식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학력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교육 방향이란 여성 개인의 심리내적 변인과 환경맥락에 대한 세분화된 이해를 바탕으 로, 개인의 삶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가능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 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the differences of vocational value recogn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role orientation of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are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77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currently in the process of or having already acquired certificates at women vocation career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career-interrupted women seeking career paths at othe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nd social education center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19 March 2012 until April 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women who were disconnected from the career were divided into the ‘super-woman role orientation’ cluster, the ‘wise-mother & good-wife role orientation’ cluster, and the ‘subconscious super-woman role orientation’ cluster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work and family domain. The differences of education on vocational value awareness in each cluster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der college graduate group, own ability, human-relations oriented, economy first, social-consciousness-driven, and pursuing stability shows meaningful results in each cluster. Second, in the above college graduate group, own ability, social-dedication, and social-consciousness-driven shows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But the differences of educ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n t show meaningful results in each cluster. Based on the results first, an individual career counseling study based on an individual s inner psychological factor and education is suggested. Second, a subdivided attempt at classification of role recognition based on collection of information at diverse locations and education centers is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언희(Kim, Un-Hee),김병석(Kim, Byeong-seok). (2017).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지향성에 따른 직업가치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학력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1), 173-193

MLA

김언희(Kim, Un-Hee),김병석(Kim, Byeong-seok).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지향성에 따른 직업가치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학력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2017): 173-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