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타일의 투명성을 활용한 공간표현 연구

이용수 640

영문명
A Study on Artistic Expressions in Space Utilizing Textile s Transparency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김화언(Kim Hwa un) 이필하(Yi Phil ha)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1권, 147~16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텍스타일은 오랫동안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해왔으며, 다양한 예술적 표현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에는 과학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신소재의 개발과 3D 프린팅, 전자섬유(E-textile) 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의류에서 인테리어에 이르는 다채로운 제품개발은 물론 예술, 건축으로까지 그 표현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타일 작품들의 공간표현을 연구함으로써 텍스타일을 이용한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발전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투명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투명성에 대한 논의는 1940년경 건축분야에서 시작되어 공예나 회화, 디자인으로 파생됐다. 투명성의 개념은 시각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되고 확장되었는데, 시지각적으로 경험되는 실제적 투명성의 개념과 공간과 시간의 개념을 포함하는 현상적 투명성, 심리적 인식론적 의미를 담은 관념적인 투명성으로 구분 짓는 것이 일반적이다. 텍스타일은 제직과정에서 나타나는 그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투명성을 지니는데, 이때 빛의 투과와 반사가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변적이고, 양면적인 반투명(translucency)에 가까운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여러 투명성의 개념과 특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표현양상을 재료의 투명성, 다공성의 구조, 레이어(layer)의 중첩이라는 세 가지 카테고리(category)로 나누어 공간에서 표현되는 투명성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텍스타일을 사용한 예술적 표현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또한 텍스타일과 과학기술의 접목이 투명성의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공간표현의 주된 양상들을 정리함으로써 앞으로의 텍스타일을 이용한 표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및 다채로운 논의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extile has continuously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ship to the lives of human beings for a long time, and it contains potentialities for various artistic expressions. Recently, researches on the creation of new materials based on scientific technologies, 3D printings, or E-textile have continued to be done with great interests. In this context, textile has enlarged its realm of expression from various product development such as clothing and interior to art and architect. As it studies the spatial expressions of some works of textile, this paper deals with a possibility of creating artistic expressions by using textile and aims to provide a basis for its development centering on the discussion on transparency. Discussions on transparency started in 1940s from the area of architecture and were extended to the areas of industrial art, fine art, and design. The concept of transparency has developed and extended as visual paradigms change, and going beyond the concept of transparency centered on visual-cognitive experiences, it is widely accepted to divided into the phenomenal transparency that encompasses time and space and the idealistic transparency that includes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epistemology. Textile has the quality of transparency because of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since both the penetration and the reflection of light happen at the same time, textile comes to have a property that is almost both-sided translucency. Therefore, various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cy emerge in a complex manner. This paper, centering on the concept of transparency in space, deals with three categories, namely the transparency of materials, the structure of porosity, and the overlap of layers, thereby investigating textile’s potentialities for artistic expressions. As it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integration of textile and scientific technologies on the expression of transparency and classifies some key aspects of spatial expression, this paper searches for a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rt using textile and hopes to lay a foundation for further discussio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투명성의 개념과 텍스타일
Ⅲ. 텍스타일의 투명성을 활용한 공간표현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화언(Kim Hwa un),이필하(Yi Phil ha). (2017).텍스타일의 투명성을 활용한 공간표현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 (1), 147-162

MLA

김화언(Kim Hwa un),이필하(Yi Phil ha). "텍스타일의 투명성을 활용한 공간표현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1(2017): 147-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