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현대 남도 남종화의 유교미학적 요소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4

영문명
A study on Confucian Aesthetic Elements in Namdo’s Modern and Contemporary Southern School of Painting - Focusing on Heo Baek-ryeon and His Line of Artist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오병희(Oh Byung hee)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1권, 123~1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남종화는 동아시아 사상과 정신을 담은 작품으로 남도는 조선후기 이후 남종화 전통이 현재까지 계승ㆍ전개된 지역이다. 근현대 화단에서 허백련은 한국 남종화의 맥을 계승하였으며 단아하고 깊이있는 운필을 통해 남종화를 법고창신하였다. 또한 허백련의 제자들은 남종화의 정신과 기법을 바탕으로 사경산수와 채색을 통해 남도 남종화를 새롭게 전개해 나간다. 본 연구는 근현대 허백련과 제자들이 사의를 추구한 남종화와 삶과 실경을 도입하여 그린 남종화를 연구하는데 성리학과 양명학 등 유교철학으로 작품을 연구하였다. 남도 남종화를 유교철학으로 살펴보면 순수하고 완벽한 이(理)를 추구한 사의와 인품을 추구한 남종화가 있으며, 남종화를 근본으로 남도의 풍경과 정감을넣어 그린 남종화가 있다. 또한 실경과 사람들의 삶을 소재로 한 사경산수는 양명학의 자아의식과 개성을 강조한 작품으로 조선후기 진경산수와 연관된다. 근현대 남종화의 보편적인 정신을 근간으로 풍경과 정서를 담은 작품은 남도만이 가진 독창적인 양식이다. 또한 남도 사경산수는 산과 나무, 물 등 실경에 대한 느낌과 감성을 표현한 개성 있는 작품이다. 이와 같이 남도의 남종화가들은 남종화의 기법과 정신을 바탕으로 남도의 실경과 정서를 담은 개성적인 작품을 그렸다.

영문 초록

Southern School Painting, or namjong-hwa, has captured East Asia s spirit and philosophy; and its tradition has continued since the late Chosun era to this day, in Jeollanam-do Province. Heo Baek-ryeon succeeded the lineage of Korea s Southern School of Painting, profoundly innovating the Southern School s style through graceful and exquisite brush strokes. Also, Heo s disciples introduced fully imagined landscapes and colors into Jeollanam-do namjong-hwa while preserving the style s spirit and techniques. Through Confucian philosophy, including Neo-Confucianism; this study examines the namjong-hwa of Heo Baek-ryeon and his disciples, who pursued an original spirit, and Southern School Painting representing life and actual, or true view, landscapes. The Southern School of Namdo painting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se Oriental philosophies: Namjonghwa seeking perfect, pure “I” (이, 理)(Chinese “li”) as the foundational forces of the universe, saui (사의, 寫意)(expressing the meaning of painting or the spirit of a painter) and personality, and Namjonghwa featuring Namdo’s scenery and emotion. Real-view landscape painting addressing actual landscapes and aspects of actual quotidian life are associated with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presenting national self-consciousness. Works that feature landscapes and emotions, based on the universal spirit of modern and contemporary Southern School of painting are ingenious paintings unique to Namdo. Also, Namdo’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are distinctive works representing feelings and emotions of realistic landscapes with mountains, trees, stones, and water. Works by Jeollanam-do s namjong-hwa painters embodying local sentiments and representing Jeollanam-do s landscapes painted from life, following the artists complete mastery of Southern School Painting techniques and spirit, require critical evalu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남도 남종화 화맥과 유교철학적 의미
Ⅲ. 허백련에 의한 남종화의 창의적 계승
Ⅳ. 근현대 남도 남종화의 전승과 창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병희(Oh Byung hee). (2017).근현대 남도 남종화의 유교미학적 요소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 (1), 123-146

MLA

오병희(Oh Byung hee). "근현대 남도 남종화의 유교미학적 요소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1(2017): 123-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