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완의 형태를 통해 본 도자의 특징과 차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s and teas through the shapes of the tea bowls: Focusing in Korea, China and Japan
발행기관
한국도자학회
저자명
김현숙(Hyun-Suk Kim)
간행물 정보
『한국도자학연구』Vol.21 No.1,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과 한국, 일본은 오래전부터 교역을 통해 물자와 정보, 그리고 다양한 문화를 교환해왔다. 본 연구는 중국의 당과 송 및 한국의 고려와 신라를 거쳐 일본의 모모야마 시대로 이어지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차를 매개로 한 3국의 다완 형태와 색상이 어떤 영향 관계하에 있었는지 그 연관성을 밝힐 목적으로 수행됐다. 이 연구는 중국의 경우, 다완이 차 도구로 수출됐던 당대(618~907) 일부 기간과 송대(960~1279)를 중심으로, 한국의 경우 문화적・기술적으로 진취적이고 불교와 차, 청자 문화로 융성했던 고려를 중심으로, 일본의 경우 다도 문화가 일본 전역에 유행하면서 차와 함께 다양한 다완 수요가 급증한 모모야마시대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2장에서는 먼저 차와 다완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동양 3국 차의 역사적,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이어서 차와 다완의 관계에 대해 서술한다. 귀족 중심의 차는 자기수행 외에도 약효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서민층으로 확산됐다. 이와 함께, 중국 저장성 웨저우요에서 다완이 생산됐는데, 생산된 제품의 굽은 낮고 굽지름은 넓으며, 구연부는 열린 상태였다. 이러한 형태의 청자다완은 당시의 전형적인 형태로 자리 잡았다. 고려는 중국식 해무리굽 완 제작기술을 모방해 자국 고유의 청자문화로 발전시켰고, 일본은 중국과 고려의 영향 하에서 다완을 모방 제작했지만, 자국의 정신이 담긴 다완을 제작하면서 다도 미학으로 발전시켰다. 3장에서는 다완의 특징과 차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차의 발효 정도와 차를 달이는 방법, 차를 마시는 방법이 다완의 형태와 색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도 서술한다. 자차법은 비교적 밝은 색 다완을 사용하고, 점차법은 비교적 짙은 색 다완을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다완의 형태를 살펴보면서 그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서술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다완의 형태와 색은 다양한 요인, 즉 제다 방법은 어떤지, 차를 어떻게 마시는지, 발효 정도에 대한 선호 차이를 어떻게 느끼는지, 그리고 그것이 다완의 형태와 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 그것을 어떻게 향유 하고자 하는지 등과 연관되어 있다. 둘째, 동양 3국의 영향은 각국의 고유한 특성으로 발전했다. 고려가 모방한 ‘중국식 해무리굽 완’은 고려의 정신이 깃든‘청자 해무리굽 완’의 제작으로 이어지면서 고려청자의 시대를 열었다. 본 연구는 차를 위한 다양한 도구들 중 주요 위치를 차지하는 다완의 형태와 특징이 차를 매개로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차와 관련된 한국의 문화와 차 도구로써의 다완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체계적인 정립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의 범위를 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시기별로 차와 연관된 다완의 형태적・기능적 측면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가 차와 다완에 대한 동양 3국 학자들의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China, Korea, and Japan have exchanged goods, informations, and various cultures through commerces for a long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s and colors of tea bowls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hina's Tang Dynasty, Song Dynasty, Korea's Goryeo Dynasty and Silla Dynasty and Japan's Momoyama period.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 of tea bows, which was exported as tea utensils in some periods of the Tang Dynasty(618~907) and Song Dynasty(960~1279) in the case of China, and focuses on the Goryeo Dynasty, culturally and technologically progressive and prosperous culture of Buddhism, tea, and celadon in the case of Korea, and focuses on the Momoyama period, when tea ceremony culture became popular throughout Japan and the demand for various tea bowls along with tea increased rapidly in the case of Japan. In Chapter 2,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ea and tea bowls, the historical・periodical backgrounds of tea in the three eastern countries ar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and tea bowl is described. The aristocratic tea spread to the common people as it became known that it had medicinal effects besides self-discipline. At the same time, tea bowls were produced in Yuezhouyao, Zhejiang Province, China. The height of the products was low, the diameter of the heel was wide, and the mouth was open. This type of celadon tea bowls became a typical form of the time. Goryeo imitated the technique of making Chinese style HAEMURI-GUP(해무리굽) tea bowls and developed it into its own celadon culture, and Japan produced tea bowls imitating the influence of China and Goryeo, but developed it into the aesthetics of tea ceremony while producing tea bowls containing its own spirit. Chapter 3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ea bow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It also describes the effect of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tea, how to brew tea, and how to drink tea on the shape and color of tea bowls. JACHA-method(자차법) uses a relatively light colored tea bowl, and JEOMCHA-method(점차법) uses a relatively dark colored tea bowls. In addit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ea bowls are described by examining their shap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hape and color of the tea bowl are related to various factors. It is related to many factors such as how to make tea, how to drink tea, how to feel the preference difference about the fermentation degree, and how it affects the shape and color of tea bowl, and how to enjoy it.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hree countries in the East developed in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The 'Chinese style HAEMURI-GUP(해무리굽) tea bowl' imitated by Goryeo opened the era of Goryeo celadon as it led to the production of 'Celadon HAEMURI-GUP(해무리굽) tea bowl' with the spirit of Gorye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ea bowls, which occupy a major position among various tools for tea, through tea. In the course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ulture related to tea and tea bowl as a tea tool. In addition, although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it is also confirmed that more detailed analysis is needed in terms of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ea bowls that are related to tea by period. Nevertheles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more in-depth research by scholars from the three Asian countries on tea and tea bowl.

목차

Ⅰ. 서론
Ⅱ. 차의 역사적 배경과 다완의 관계
Ⅲ. 다완의 특징과 차의 관계에 대한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숙(Hyun-Suk Kim). (2024).다완의 형태를 통해 본 도자의 특징과 차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21 (1), 5-24

MLA

김현숙(Hyun-Suk Kim). "다완의 형태를 통해 본 도자의 특징과 차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21.1(2024):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