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송대 도자 注子溫碗의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

영문명
A Study on the Shape of the Chinese Song Dynasty Ceramic “Zhu Zi Wen Wan”
발행기관
한국도자학회
저자명
리우후이(Hui Liu) 임헌자(Hun-ja Lim)
간행물 정보
『한국도자학연구』Vol.21 No.1, 49~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송나라는 중국 역사에서 고아함을 추구한 왕조로, 그 선두 주자였던 문인들은 풍족한 생활 조건, 훌륭한 문화적 소양, 소박한 심미관, 높은 사회적 지위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 예술의 주요 창조 집단이 되었으며, 그들의 사상적 의도, 예술 철학, 미적 취향은 당시 문화 창조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송나라의 문화 사상과 문인의 심미 의식과 연관하여 도자 주자온완(注子溫碗)의 기원, 주자온완의 상호관련적인 조형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주자온완은 일반적으로 술을 담는 주자에서 술을 따뜻하게 데우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기형으로서 주자온완의 형태적 측면과 기능적 요인으로 인한 구조적 형식의 대응 관계 및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로 송대 경덕진요(景德镇窯), 정요(定窯), 요주요(耀州窯), 번창요(繁昌窯)의 대표적인 가마에서 생산된 주자온완을 범위로 하여 특징과 조형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송나라 문인들의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으로 송나라만의 디자인 양식과 장식적 특징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송대 주자온완 연구를 통해 그 시대의 문화와 요장 별 조형적 특징에 따른 독창적인 미의 양식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과거 도자 조형의 특징 연구로서 가치와 의의가 있으며, 현대 도자 식기 디자인의 발전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Song Dynasty was a period in Chinese history that pursued refinement and elegance. The literati of the Song Dynasty, as trendsetters, were the primary creative group in Song culture and art due to their affluent living conditions, high cultural literacy, simple artistic aesthetics, and elevated social status. Their profound thoughts, artistic philosophies, and aesthetic tend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ultural production of that era. The literati of the Song Dynasty were known for their refined, reclusive, unworldly, and harmonious philosophies, shaping the distinctive leisurely, harmonious, and elegant design style of Song porcelain, characterized by a natural, plain, and simple decorative approach. This study combines the cultural ideology of the Song Dynasty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literati to study the origin of the Zhu Zi Wen Wan and the interrelated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Zhu Zi Wen Wan. The “Zhu Zi Wen Wan” is generally used to heat and hold wine. This article analyzes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and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al form caused by the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factors of the Zhu Zi Wen Wan.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nd shapes were mainly analyzed within the scope of the injection temperature bowls produced by representative kilns of Jingdezhen, Ding, Yaozhou, and Fanchang in the Song Dynasty.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idea of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mong Song Dynasty literati formed the unique design style and decorative features of Song Dynasty porcelain. I hope to provide new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ceramic tableware design through the study of the Song Dynasty's Zhu Zi Wen Bowl, which has simple supplementary significance for traditional ceramic art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리우후이(Hui Liu),임헌자(Hun-ja Lim). (2024).중국 송대 도자 注子溫碗의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21 (1), 49-70

MLA

리우후이(Hui Liu),임헌자(Hun-ja Lim). "중국 송대 도자 注子溫碗의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21.1(2024): 4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