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임교사의 자기 수업성찰 실행연구

이용수 1264

영문명
A Study on Newly Appointed Teachers’ Self-Instruction Introspe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혜림(Kim, Hyerim) 이미자(Lee, Mijar)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5호, 333~35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15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여러 방안 중 스스로 자기수업성찰 경험과 역량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초임교사의 자기수업성찰 경험이 수업에 대한 관점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연구자는 연구자이면서 동시에 스스로 수업성찰 대상자였다. 수업 성찰을 위해 2015년 10-12월 사이에 총 11차시의 수업을 세 단계(수업실행 및 촬영 -수업성찰-다음 수업설계에 반영)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치며 성찰하였다. 수업에 대한 관점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이 과정에서 수업동영상 촬영, 수업일지 작성, 수업전문가와 면담, 그리고 학생들과 면담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수업성찰을 통해 주로 3가지 큰 변화가 관찰되었다. 첫째, 연구자는 학생을 성취도에 따라 구분되는 집단구성원으로 바라보던 관점에서 벗어나 고유한 개성과 인격을 가진 개개인으로 파악하게 되었다. 둘째, 연구자는 수업 중 의사 결정 상황에서 교사가 사전에 수립한 계획을 기준으로 삼기보다 학생의 학습 행위를 기준으로 의사를 결정하게 되었다. 셋째, 연구자는 차시 학습목표 달성 여부를 좋은 수업의 기준으로 여기는 관점에서 나아가 학생의 삶에 연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의 기준으로 고려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효율적,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함께 수업을 만들어가는 학생의 위치와 역할을 새롭게 들여다보는 것으로 수업에 대한 시각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자기수업성찰이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고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eachers’ expertise, teaching experti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There are many ways to enhance teachers lecturing expertise, and it is very crucial for them to introspect their own teaching and raise compete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how newly appointed teachers’ self-class introspection changes their perspective about teaching. As a study method, this author became a researcher and subject of class introspection at the same time. For class introspection, class was provided once or twice a week, total 11 sessions, for three month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5. Three steps, class provision and video recording, class introspection, and reflecting it to designing the next class, were applied circularly. To observe how the perspective about class changed, the process applied video recording, class journal writing, interviewing with teaching experts, and interviewing with studen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with self-class introspection, three major changes were observed. First, the researcher regarded students as group members distinguished by their achievement but later as individuals equipped with their own unique personality and character. Second, the researcher had the attitude of making decisions during a class based on the pre-established plan but later based on students’ learning behavior more. Third, the researcher thought a good class should be determined by whether each session’s learning objectives were attained or not but later by whether the class would influence students’ lives continuously. To sum up the results above, this researcher focused on the roles of a teacher giving lectur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ut later broadened horizons about the position and roles of students making class together as another subject of it. Moreover, this author could experience in person that self-class introspection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introspect class objectively and use it for better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림(Kim, Hyerim),이미자(Lee, Mijar). (2017).초임교사의 자기 수업성찰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5), 333-358

MLA

김혜림(Kim, Hyerim),이미자(Lee, Mijar). "초임교사의 자기 수업성찰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5(2017): 333-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