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장환의 상징시론 연구

이용수 339

영문명
A Study On Oh Jang-hwan's Symbolic Poetic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강은진(Kang, Eun-ji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0집, 105~1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47년 오장환은「조선시에 있어서의 상징」을 발표하며 갑작스럽게 상징주의를 조선 시단의 새로운 화두로 제시한다. 오장환이 강조하고자한 것은 조선만의 독자적이고 자생적인 상징 모델이었다. 그는 상징주의의 시적 적용을 조선적 특수성 아래 실행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서구 상징주의 수용의 폐단을 정확하게 지적하였으며, 상징의 시적 원리를 새로 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장환의 상징시론의 근본적 토대는 ‘감정’과 ‘이념’의 대립적 구도에 있다. 그의 비판은 조선의 상징주의가 서구 상징주의의 감정적 측면, 즉 형식만을 편향적으로 받아들였다는 데에 미친다. 여기에서 오장환의 상징시론은 프로문학과 만나게 된다. 그런데 모순적이게도 김소월과 상징주의의 매개는 바로 ‘공감성’이라는 정서적 측면이다. 그는 시인보다는 독자의 측면에서 상징의 역할이 더욱 크게 발휘된다는 수용론적 입장을 강하게 따른다. 그의 ‘공감’ 개념은 현실에 바탕을 둔 것이며, 독자를 ‘민족’이라는 집단적 개념으로 확장함으로써 시의 지향점을 제시한 것이었다. 오장환이 상징주의의 폐단으로 감정․정서라는 측면을 들고, 조선의 상징주의 시인들이 ‘이념’을 배제한 것을 문제시한 것은 바로 현실에 근거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논리에 김소월의 시를 접목시키면서 오장환의 주장은 자가당착적 균열에 봉착하게 된다. 김소월의 시가 현실을 타개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거나 상징주의의 ‘이념’을 따른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소월 시에 대한 오장환의 평가는 이 지점에서 한계에 직면한다. 소월 시는 오장환이 추구하는 현실 극복의 실천적 경지로 나아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적 모순은 소월 시의 ‘주장 없음’에 대한 비판으로 향하게 된다.

영문 초록

Oh Jang-hwan show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Korean liberation period. We can recognize the literary environments and understand the complicated literary situation in that period through his works. In 1947 he published a new poetic writing titled Symbolism of Joseon Poetry . He asserted symbolism on this article, but it was actually a kind of ‘passed by’ issue with the end of 1920's. He presented the self-developed symbolism naturally grown in Korea not adopted from western thoughts. Also, he insisted symbolism must be fulfilled under consideration of Korean own specificity. His ultimate purpose headed to ‘practical symbolization’. It's fundamental foundation relied on the conflict composition of ‘emotion’ and ‘idea’. These two concepts developed from ‘form’ and ‘content’. It meant there were some distortion and bias in inflow of western symbolism to Korea. Especially it was the problem that ‘emotion’ and ‘form’ biased aspects occurred. In this point his symbolic poetics deeply connected to proletarian literature. Ironically he claimed a concept of ‘ethnic empathy’ by explaining Kim So-wol’s poetry as a typically symbolized case. He considered‘empathy’ as a reality based concept, and expanded the range of subjects to the whole ethnic group. The core principles of his symbolic poetics focused on ‘reality’ and ‘human’. On the other side he worried about young poets those who fell into the art-for-art principle because they had no wills to revolute the colonial reality. That plunged him into the basic contradiction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Kim So-wol’s poetry and the reality based‘practical symbolization’ theory. Eventually his arguments lost logical validity. Hence he’d never mentioned anything about symbolism after Symbolism of Joseon Poetry . So the internal chasm led him to the criticism of Kim So-wol’s ‘not having a political opinion’ attitudes. In spite of the logical inexactitude his symbolic poetics has a particular significance that he suggested an independent symbolism model in Korea and found a future oriented practical symbolization theory. Many people thought Oh Jang-hwan used symbolism in order to spread out proletarian literature, but he might choose both symbolization and proletarian literature as the ways to ‘literature for human’.

목차

1. 서론
2. 등장 배경과 문학사적 맥락
3. 조선의 자생적 상징주의와 프로문학
4 논리적 모순과 내적 균열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은진(Kang, Eun-jin). (2015).오장환의 상징시론 연구. 한국문학논총, 70 , 105-136

MLA

강은진(Kang, Eun-jin). "오장환의 상징시론 연구." 한국문학논총, 70.(2015): 105-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