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漢詩를 통해 보는 조선시대 歲時風俗

이용수 334

영문명
Chosun Dynasty Seasonal customs(歲時風俗) to see through the Chinese poetry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신승훈(Shin, Seung-hu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0집, 71~10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명절과 특별한 절기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은 생활문화와 놀이문화가 한데 어울려 나타난다. 생활문화와 놀이문화가 같은 시간에 같은 공간에서 한데 섞여 구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기할 만한 것은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세시풍속이 많다는 점과 큰 명절, 즉 설날과 단오와 추석 등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시기적으로 歲時記가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이유는 세시풍속에 대한 관심이 조선후기에 가서야 지식인층에까지 확산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조선후기의 사회적 변화와 지식인의 변화된 의식의한 모습을 歲時記가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여겨진다. 때문에 세시풍속이 漢詩化되어 전해지는 이유는 지식인들의 반성적 사고와 사회전반에서 일어난 기층 민중과 기층문화에 대한 관심과 그들의 목소리와 삶이 부각된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세시풍속을 형성하고 향유하는 주체들은, 그들이 보고 들으며 자란 생활문화로서의 풍속을 자신들이 거를 수 없어서 재연한다. 이 세시풍속을 한시로 묘사하는 시인 또한 그들의 정성과 행위에 지식인으로서 동참하고 있다. 이는 기층문화의 강고한 생명력과 영향력에 그 동인이 있기 때문이다. 세시풍속 앞에서는 권력이나 신분, 체면은 아주 나약한 가면에 지나지 않는다. 적잖은 한시에 세시풍속이 담겨 있고, 때로는 세시풍속만을 담은 연작시가 지어지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인다. 사실 문화란 켜켜이 쌓인 積層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의 문화가 꼭 오늘만의 문화는 아닌 것이다.

영문 초록

And it made a special Feast season seasonal customs appears mingle together a living culture and amusement culture. Because it mixed together and implemented in the same space of time, such as cultural and amusement life and culture. It is worth reflecting specialty and seasonal customs in point-wise and great holiday farming culture, that New Year and Chuseok intensively appears and Dano and is a point. Record of Season customs(歲時記) seasonally as a reason to focus on the emergence of the late Joseon seem to be interested in because of the seasonal customs were spreading far Intellectual hierarchy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believed to reflect the will Record of Season customs(歲時記) a state of altered consciousness of social change and the intellectua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ritten in poetry because of seasonal customs are handed down because we believe that due to the phenomenon of interest, and their voices and lives of the base incidence folk culture took place in the first half and the base layer reflective thinking and society of intellectuals. Subject to form, and they enjoy the seasonal customs, life culture and customs as they grew up listening to and watching replays because they're able to. Poet to describe the seasonal customs in poetry has also participated in an intellectual act, and their sincerity. This is because the firm that drivers of vitality and cultural impact of the base. Three wind power or status in front, face masks are just very weak. The poetry is considerable seasonal customs and contained, and sometimes even seems that there is a reason why built right here in the yeonjaksi containing only seasonal customs. In fact, culture is can be called stacked Laminated Section(積層). So the culture of the day will come, not the culture of Today.

목차

1. 서론
2. 생활과 놀이의 문화, 세시풍속
1) 생활문화로서의 세시풍속
(1) 설빔(歲粧)
(2) 과하주(過夏酒)
(3) 유두(流頭)
2) 놀이문화로서의 세시풍속
(1) 윷놀이(擲柶)
(2) 연날리기(紙鳶)
(3) 널뛰기(超板/超板戱/跳板)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승훈(Shin, Seung-hun). (2015).漢詩를 통해 보는 조선시대 歲時風俗. 한국문학논총, 70 , 71-103

MLA

신승훈(Shin, Seung-hun). "漢詩를 통해 보는 조선시대 歲時風俗." 한국문학논총, 70.(2015): 71-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