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이용수 284

영문명
The Orthographic Features of Dongchundang Song Jun-gil's Family Hangeul Letter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성옥(Seong ok Kim) 김정태(Jeong tae Kim)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4輯,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 중에서 19세기 말 ~ 20세기 초 간찰에 대한 표기를 분석하여 개화기 국어의 표기법 특징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간찰자료는 구어적인 요소(연철과 중철표기 등)와 표기의 보수적인 요소('ㆍ'의 혼기 양상과 ㄹㄴ표기형 등)가 함께 공존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철ㆍ중철ㆍ분철표기가 혼기되는 가운데 분철표기는 곡용에서, 연철표기는 활용에서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연철표기와 분철표기의 양상이 시대별 표기경향과 더불어 형태론적인 범주별 표기경향 또한 배제할 수 없음을 논의하였다. 중철표기의 경우, 곡용은 체언말에 'ㅅ(ㄷ)'을 가진 어형에서, 활용은 현대국어의 용언 '있­'에서 대부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된소리 표기에는 ㅅ계 합용병서가 쓰이고 있으며, ㅂ계 합용병서는 'ᄡᅥᆺᄉㆍᆸᄂㆍ이다(1164), 바ᄂㆍᆯ 세 ᄡᅣᆷ(1164), ᄡㆍᆺᄂㆍᆫᄃᆡ(1202)' 외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ㆍ'가 비음운화되었음에도 본 간찰자료에서는 'ᄒㆍ나(하나 1147), ᄉᆡᆼ각(생각 1131), 동ᄂᆡ(동네 1151), 쳘ᄂㆍᄅㆍ(>철로로, 1191), 만흘ᄉㆍ록(>많을수록, 1150), 모ᄅㆍ오니(모르오니 1063)' 등, 'ㆍ'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음절말 'ㅅ'표기를 통하여 현대국어에서 용언어간의 '있­'과 문법형태소 '­았/었­, ­겠­'이 이 당시는 기저형이 '잇­, ­앗/엇­, ­겟­'이었음을 추정하였다. 다섯째, ㄹㄴ형이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팔니면(1135), 놀납­(1152)'처럼 용언에서, '쳘ᄂㆍ(鐵路 1191)'처럼 한자어 구성에서, 그리고 'ᄯᅡᆯ노(1130), ᄉㆍ별노(1130), 시골노(1151)'처럼 체언말 'ㄹ'과 부사격조사 '로'의 결합인 곡용 등에서 ㄹㄴ형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글간찰을 통한 개화기 국어의 다양한 표기상의 혼기는 『한글마춤법통일안』(1933)을 계기로 현대국어와 같이 통일화 및 규정화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orthography of letters us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Dongchudang Song Jun-gil's family Hangeul Letters to consider the orthographic features of Kore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this, it's found that in Hangeul Letters coexist colloquial elements(yeoncheol & jungcheol writing and etc.) and conservative elements of writing('ㆍ' intermixed, ㄹㄴ-writing and etc.). First, while yeoncheol/jungcheol/buncheol writings were intermixedly used, buncheol writing appeared more in declension, yeoncheol writing in inflection. For this reason, it discussed that the phases of yeoncheol and buncheol writing cannot exclude the writing tendency by morphologic category along with the writing tendency by time. As for jungcheol writing, most of jungcheol writing appears in word form with 'ㅅ(ㄷ)' at the end of nouns while most of inflection appears in '있­', a predicate of modern Korean. Second, "ㅅ"-initial onset Clusters are used to write fortis while 'b'-initial onset clusters are hardly found. Third, though 'ㆍ' gets nasalized, it appears in various forms like 'ᄒㆍ나(hana 1147), ᄉᆡᆼ각(saenggak 1131), 동ᄂᆡ(dongnae 1151), 쳘ᄂㆍᄅㆍ(>cheolroro, 1191), 만흘ᄉㆍ록(>maneulsurok, 1150), 모ᄅㆍ오니(moroni 1063).' fourth, through writing 'ㅅ' at the end of syllable, it's guessed that '있' of predicate stem and '­았/었­, ­겠­' of verbal conjugation in the modern Korean were '잇­, ­앗/엇­, ­겟­' in their underlying form at that time. Fifth, it's found that 'ㄹㄴ'-form appeared in various settings. It appeared in predicates like '팔니면(1135), 놀납­(1152),' in Chinese character composition like '쳘ᄂㆍ(鐵路 1191)' while declension appeared in 'ㄹㄴ'-form by adverbial particle, '로,' combined with 'ㄹ' at the end of noun like 'ᄯᅡᆯ노(1130), ᄉㆍ별노(1130), 시골노(1151).' This intermixing of various writings in Kore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got unified and codified as in modern Korean when 『The Draft for Unified Spelling System of Hangeul』(1933) was decreed.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동춘당 송준길가의 한글간찰
3.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옥(Seong ok Kim),김정태(Jeong tae Kim). (2015).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어문연구, 84 , 5-30

MLA

김성옥(Seong ok Kim),김정태(Jeong tae Kim).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어문연구, 84.(2015):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