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승호의 산문과 노장사상의 상관성

이용수 87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prose of Choi Seong-ho and the thought of Lao Tzu and Chuang Tzu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오유정(You Jung Oh)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4輯, 273~29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최승호의 명상집에 나타난 생태계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려는 데 목적을 둔 점에 주목하여 그 사상이 표출된 글들의 의미를 노장적 사유를 통해 살펴보려고 하였다. 그가 공생의 대안으로 선택한 것은 노장사상의 무(無), 그리고 무(無)에 이르기 위한 앎(知) 내지는 반성ㆍ비움 등이다. 그는 이를 근간으로 궁극의 도(道)에 이르러 문명현실의 문제점을 넘어서고자 했다. 최승호의 명상집 『달맞이꽃에 대한 명상』, 『황금털 사자』에서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파괴성, 공격성을 고발하고 생(生)과 사(死), 유(有:실재함)와 무(無:반성과 비움)를 통해 자연과 공생의 길을 모색함이 발견되었다. 장자는 성(性)을 닦으면 본연의 덕(德)으로 돌아가 그 끝에 이르러 태초와 일치할 수 있다고 했다. 최승호의 산문에는 자연에 대한 동경과 회귀하고자 하는 노력, 파괴된 자연에 대한 반성의 의미가 담겨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권의 명상집에 나타난 작가의 자성 등에 착안하여 유와 무에 접근한 노자와 장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을 공생의 탈출구로 삼았던 점과 궁극의 도를 인원(引援)하기 위해 유와 무의 대립면의 경계에서 허상과 실상, 존재와 적멸, 대자연과 화해적 공존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 점에 의미를 두었다. 물질만능과 비인간화로 나날이 치닫고 있는 이 시대에 노장의 무를 통한 자연과의 공생을 모색하려는 작가의 목적에 귀를 기울여 생태계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삶의 방향과 사물에 대한 올바른 윤리의식이 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Seungho Choi exposes the grim reality in which man-made violence toward the nature is justified under the name of development by proposing the alternatives toward Laotzian "nothingness (無)" in several places of his writings. This paper investigates some of the works of Seungho Choi by exploring the Laotzian nothingness, knowledge or reflectionㆍ to reach the status of nothingness, and attempts to ultimately obtain 道. Seungho Choi published several meditation books. Among them, 『Meditation on evening primrose』 and 『Lion with golden hair』 demonstrate the author's internal awareness to accuse human violence and aggression against the nature and explore the path for co-existence with the nature through life and death , reflection and void. The belief of Lao Tzu and Chuang Tzu to "leave the nature as it is", which is based on the approach of existence (有) and nothingness (無) is utilized by Seungho Choi to achieve co-existence with the nature. Choi constantly attempts at knowledge (知) and enlightenment with the focal concentration on "the nature as it is without action (無爲)". His efforts to explore the path toward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with the Mother Nature through investigating the two contrasting elements such as actuality and nothingness, illusion and reality, existence and annihilation in order to enable and derive the ultimate enlightenment can be seen in several places in his works. Chuang Tzu has said that self-discipline one's nature (性) will lead to one's natural virtue (德) and ultimately achieve the concordance with how it was in the beginning (泰初). Seungho Choi's language delivers the admiration for and the desire to return to the nature as well as self-reflection on the destruction of the nature. It is indeed meaningful to shine a light on Choi's pursuit to seek co-existence with the nature through Laotzian "nothingness" against the materialistic and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the nature.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무위자연(無爲自然)에 대한 동경
3. 허(虛)의 중간단계로서의 형(形)과 성(性)
4. 도(道)의 지향과 이상세계의 탐구
5.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유정(You Jung Oh). (2015).최승호의 산문과 노장사상의 상관성. 어문연구, 84 , 273-295

MLA

오유정(You Jung Oh). "최승호의 산문과 노장사상의 상관성." 어문연구, 84.(2015): 273-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