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공포의 근원과 형상화 양상

이용수 1534

영문명
The Source of Fear and the Aspects of Its Imagery Shown in Gi Hyeong-do's poetry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박종덕(Jong deok Park)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2輯, 211~23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기형도의 텍스트에 내재한 공포의 근원을 외부적 요인과 내면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그 공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구명한 것이다. 기형도 시의 공포는 시대라는 외부적 풍경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기형도는 80년대라는 정치적 혼란을 명시적으로 그려내지 않는다. 다만 개인의 삶과 시대의 상관성을 미시적으로 서술한다. 학교 체험, 군대 체험, 그리고 사회 체험 등에 관한 묘사가 그러하다. 정치 그 자체를 겨냥하고 있지는 않으나 정치적으로 지배될 수밖에 없는 개인의 한계가 바로 기형도의 공포를 형성하는 외부적 풍경의 실체이다. 공포의 또 다른 근원은 내면적 풍경에 있다. 이것은 아주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가족의 해체이다. 아버지의 부재는 어머니에게로 아버지의 책임이 전가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버지를 대신할 수 없는 어머니의 한계는 기형도의 내면을 공포로 점철시킨다. 문제는 이러한 경험들이 유년시절에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따라서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유년의 체험은 기형도의 공포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내면적 풍경으로 작동하고 나아가 성인이 된 기형도의 삶을 지배하는 핵심적 원인이다. 이렇게 형성된 공포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상화된다. 기형도의 공포는 "쓸쓸하다"-"어둠"-"검다"-"밤"-"캄캄하다"-"겨울"-"눈"-"얼음" 등의 명사나 형용사의 계열체로 형상화된다. "쓸쓸하다"가 형성하는 고독, "어둠"과 "밤", "캄캄하다"가 형성하는 불모성과 죽음, "겨울"과 "눈", "얼음"이 형성하는 절망과 방황 등의 공포가 그러하다. 아울러 이 공포는 1인칭 화자의 고백을 통해 핍진하게 드러난다. 1인칭 화자를 내세워 내면을 왜곡 없이 고백하는 이와 같은 방식에서 독자는 기형도의 고통스러운 내면을 응시하고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source of fear underlying in the text of Gi Hyeong-do by dividing it into the exterior factor and the interior factor and then I studied how fear was embodied concretely. The fear in his poetry is formed by the exterior scenery of his era. However, Gi Hyeong-do does not illustrate the political chaos of the 1980s explicitly. He just narrates cor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s life and the times microscopically. So does the description of school, army, society experiences and so on. It does not aim at politics itself, however, the limitation of an individual who cannot but be dominated politically is the very truth of the exterior scenery forming the fear of Gi Hyeong-do. The other source of his fear lies in the interior scenery. Very definitely this is the family dissolution due to the absence of his father. The absence of his father means that the father's responsibility was shifted on his mother. But the limitation of his mother who could not replace the father's role interspersed his inner side with fears. What matters is that he underwent these experiences in his childhood. Thus experiencing his father's death in his childhood functions as the most significant inner scenery forming Gi Hyeong-do's fear. And furthermore, it is the key factor that dominates Gi Hyeong-do's life as an adult. The fear developed in such a way is illustrated in various ways. The fear of Gi Hyeong-do is described as a paradigmatic set of nouns or adjectives such as "lonely," "darkness," "black," "night," "pitch dark," "winter," "snow," "ice." The fears such as the solitude formed by the word, "lonely," the death and sterility by the words, "darkness," "night," "pitch dark," and desperation and wondering by the words, "winter," "snow," "ice" are like that. In addition, this fear is revealed through the confession of the first-person narrator without a word of lie. Readers could stare at Gi Hyeong-do's agonizing inner side and understand his mentality from the way of confessing his inner self without distortion by using a first-person narratio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주체의 눈에 포착된 풍경의 실체
3. 전경화한 고독과 방황하는 주체의 '쓸쓸함'
4. 1인칭 화자의 호명과 고독한 내면의 고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덕(Jong deok Park). (2014).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공포의 근원과 형상화 양상. 어문연구, 82 , 211-235

MLA

박종덕(Jong deok Park).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공포의 근원과 형상화 양상." 어문연구, 82.(2014): 211-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