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 강점기 만주의 농업 기술을 통해 본 민족 문제 시론(試論)

이용수 135

영문명
The Essay on an Ethnic Issue through Agricultural Technologies in Manchuri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around Novelist An Soo-Gil’s literary works -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주현(Kim, Ju-Hyun) 권혁건(Kwon, Hyuk-Gu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8집, 205~2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현재 이분법적으로 대립중인 만주 개척 서사 연구의 방법론을 확장시키면서 일제 강점기 만주의 민족 문제를 제국과 자본의 관계 속에서 규명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일제 강점기 한국 문학사에서 만주라는 문제적 공간을 농업 기술, 구체적으로 조선인 디아스포라 집단이 성공시킨 수전(水田)에 착안하여 민족 문제 차원에서 접근했다. 만주는 한국 문학사의 탈식민주의 논의에서 중요한 공간이다. 만주에 대한 근대 초기 지식인들의 관심은 만주 사변 후 급속하게 증가했고, 근대 문인들에게도 만주는 현실적으로 좌절된 민족적 이상을 실현하는 공간/대동아공영권이라는 제국주의적 착란을 가능하게 하는 혼종적인 공간이었다. 그 결과 최근 국문학 연구에서 만주를 다룬 근대 작가들은 저항/협력이라는 이분법으로부터 자유롭기 어렵다. 그러나 근대 작가들의 만주 형상화의 원천인 ‘만보산사건’은 이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만보산사건은 일제 강점기 만주의 조선인 디아스포라 집단의 ‘민족적 수난’과 ‘극복’을 의미하는 대명사였지만, 중국인 지주와 일제가 공모하여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중국인 소작농을 생각할 때 오늘날 이 사건에서 주목할 부분은 민족보다는 오히려 자본과 계급 문제이다. 만보산사건을 소재로 한 근대 문인들의 텍스트를 탈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보아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만주에서 수전은 ‘조선인다움’의 지표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자본친화적인 기술이 된다. 이에 대한 민족 내부자의 시선은 수전이 가져온 근대적 영농 시스템을 일제의 괴뢰국 만주국의 농업 정책에 따라 시기별로 다르게 인식하는 안수길의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벼〉와 〈목축기〉, 〈북향보〉는 만주의 농업 ‘스승’에서 ‘학생’으로 지위가 변화하는 조선인 농민들을 등장시켜 이 과정을 내부자의 시선으로 보여주는데, 이는 또한 ‘수전’에서 ‘목축’으로 만주국 농업의 중심축이 이동하면서 민족 중심 서사로부터 협화(協和)의 서사로 소설의 구성이 변화하는 것과도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has approached the problematic place called ‘Manchuria’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an agricultural technology as a way of an ethnic issue - that is, specifically aiming at a paddy field(水田) where the diaspora group of Joseon Dynasty had succeeded at that time. Manchuria is a very critical space in discussion of Anti-colonialism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concerns of intellectuals about Manchuria in early modern times sharply increased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and simultaneously to modern writers, it was a hybrid space that it was possible to realize the ethnic utopia frustrated in reality and to make the imperial dementia - ‘the Great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modern writers who have dealt with Manchuria in the latest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to be free from a dichotomy between resistance and cooperation. However, ‘The Uprising on Manbo Mountain’ which becomes the source of modern writers to configurate Manchuria gives a new vision about this problem. So far ‘the Uprising on Manbo Mountain’ has been called a synonym for ‘ethnic sufferings’ of Korean (Joseon) diaspora group and ‘the overcoming’. Considering Chinese tenant farmers who had the most severely harmed because of the conspiracy between Chinese landowners and Japanese, but, nowadays the significant things in the incident are a capital and hierarchical problem rather than a nation. It is the reason why we should examine the texts of modern writers who have used this incident as the writing material in the point of post-nationalism view. A paddy field in Manchuria was the index of ‘Korean-ness (Joseon-ness)’, but it gradually became a capital-friendly technology as time goes by. The eyes of ethnic insiders about it can be founded in An Soo-Gil’s works which had differently recognized modern farming system by times in accordance with the agricultural policy of Manchoukou (Manchu State) - the Japanese puppet state. 〈Byeo;a rice plant〉, 〈Mokchookgi;a stock farming record〉 and 〈Bukhyangbo;a genealogy of Northern Home〉 show the process that the position of Korean (Joseon) farmers had been changed from ‘the master’ of Manchu agriculture to ‘the student’ with the eyes of insider by making them in the work. ‘Concordant Theory’ is remarkably shown in the narrative attitude of the writer about the position of Korean farmers because the focus of Manchu agriculture was changed from ‘a paddy field’ to ‘stock farming’.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ethnics issue in Manchuri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relation between an empire and a capital by expanding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study about the history of Manchu reclamation which is still in conflict with a dichotomy.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만보산사건’ 다시 보기
Ⅲ. 문명의 기술과 스승의 자리
Ⅳ. 협화의 기술과 학생 되기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현(Kim, Ju-Hyun),권혁건(Kwon, Hyuk-Gun). (2011).일제 강점기 만주의 농업 기술을 통해 본 민족 문제 시론(試論). 한국문학논총, 58 , 205-236

MLA

김주현(Kim, Ju-Hyun),권혁건(Kwon, Hyuk-Gun). "일제 강점기 만주의 농업 기술을 통해 본 민족 문제 시론(試論)." 한국문학논총, 58.(2011): 205-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