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헌법상 ‘공적 사용’ 요건의 심사기준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용수 119
- 영문명
- A Critical Study on the Standard of Review Concerning Public Use Requirement in the U.S. Constitution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장민선(Jang, Min Sun)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5卷 第4號, 421~45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국 연방헌법상 정부의 공용수용권은 공적 사용을 위해서만 허용되므로, 공적 사용 요건은 공용수용권의 유․무효를 결정하는 헌법상 한계가 된다. 공적 사용의 의미는 1차적으로 입법에 의해 구체화되고, 최종적으로는 법원의 해석에 의해
결정된다. 법원은 공적 사용의 의미를 종래 공소유, 공중에 의한 사용에 한정하던 협의의 해석에서 벗어나 공적 목적, 공적 이익으로 해석하는 광의의 해석을 해오고 있다. 이러한 해석 경향은 입법부 결정에 대한 존중 태도를 나타내는 것
으로서, 이것은 이중기준 원칙에 근거한 것이다. 1938년 U.S. v. Carolene Products Co. 판결의 각주 4로부터 등장한 이중기준 원칙은 기본권의 종류를 정신적 자유와 경제적 자유로 나누어, 정신적 자유를 제한하는 법률은 더욱 엄격한 심사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신적 자유에 경제적 자유보다 우월적 지위를 부여한 것으로서, 법원이 보다 전문성을 가지므로 합헌성 추정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지만, 사회경제 분야에는 의회가 전문성이 더욱 높기 때문에 그들의 결정에 합헌성을 추정하는 것이다. 이중기준 원칙은 헌법재판의 반민주주의적 성격을 극복하고 의회와 법원간 권력분립 원칙에 부합하는 관계 설정에 적합한 심사기준체계이지만, 기본권의 우열관계, 경직성, 소수 개념의 불명확성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비판을 받고 있고, 개선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중기준 원칙에 따라 재산권 수용에 대해서도 완화된 합리성 심사기준이 적용되어 공적 사용 요건이 매우 광범위하게 해석되었다. 공적 사용에 관하여 오늘날 가장 문제되는 ‘경제개발을 위한 수용’은 2005년 Kelo v.City of New London 판결에서 합헌 결정을 받았으나 여기에 최소한의 합리성 심사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몇가지 점에서 타당하지 않다. 첫째, 경제개발 계획은 주로 민간 기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익을 위해서 다른 사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점, 둘째, 경제개발을 위한 수용에 있어서 가장 피해를 입는 사람은 흑인, 노인, 사회적 빈곤층 등이므로, 이중기준 원칙에 의해 보호하려고 하는 ‘소수’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재산권 제한이라는 이유로 도식적인 합리성 심사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영문 초록
As eminent domain power of the government is allowed only for public use in the U.S. Constitution, the public use requirement is the limit deciding the constitutionality of government's taking. The meaning of public use is first embodied by legislation and finally decided by the supreme court's rulings. Courts have expanded the interpretation of public use from public ownership or use-by-public to public purpose or public interest. This tendency reflects the judiciary's deference to the legislature, which is based on the double standard principle.
Double standard principle appeared from the footnote 4 of United States v. Carolene Products Co.(1938) means that laws restricting spiritual freedom are subject to strict scrutiny while laws regarding social and
economic matters are presumed to be constitutional. This means the former are granted 'preferred status' and the court is the best expert in guaranteeing this kind of rights. However, this principle has been criticized
for the adequacy of classification of rights, the rigidity, or unclear concept of 'minority', etc.
According to double standard system, the mitigated rationality-based review is applied to the taking of property, which results in broader interpretation of public use. Specially, even though 'taking for economic
development' was held to be constitutional in Kelo v. City of New London(2005), the minimum rationality-based review is not appropriate standard to that kind of taking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aking for economic development brings about the loss of private property for private interests because it is usually operated by private corporations.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며
Ⅱ. 이중기준 원칙의 등장과 내용
Ⅲ. 미국 헌법상 공적 사용의 판단기준
Ⅳ. 경제개발을 위한 수용의 합헌성 판단기
준 검토
Ⅴ.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에 관한 고찰
- 조세입법체계의 정비를 통한 기본권실현
- 의원내각제에서 대통령의 선출방식에 대한 제도적 고찰
- 헌법과 조세정의
- 미국 헌법상 ‘공적 사용’ 요건의 심사기준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헌법상 교육조항의 해석론과 주요 입법사례의 분석
- 법치주의 기준에서 바라본 依法治國의 의미
- 한국과 독일의 구체적 규범통제제도간 비교
- 조세정책과 사회적 기본권의 관계
- 북한의 2009년 개정헌법의 특징과 평가
- 헌법에 의한 한국 현실의 진단
-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통해 본 입법의 원칙
-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에 대한 헌법적 고찰
- 검찰권과 사법권 개혁의 과제
- 남북통일을 위한 헌법제정권력의 민주적 실현에 관한 연구
- 생명권, 과학기술, 헌법적 가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