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세입법체계의 정비를 통한 기본권실현
이용수 23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박종수(Jong-Su Park)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5卷 第4號, 77~10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세법규정은 과세관청과 납세자간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규범체계로서, 공법 영역 중 대표적인 ‘침해법(Eingriffsrecht)’ 영역에 속한다. 따라서 조세입법 중에는 여하한 이유와 형태로 국민의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는 소지가 매우 많기 때문에, 그 어떤 법영역에서 보다도 헌법적 기준과 잣대에 의한 평가가 중요함을 간과할 수 없다. 유난히 다른 법영역에서보다 조세법 영역에서 위헌사례가 많은 것은 이 점을 잘 반영해준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세규범에는 그 규범적 효력의 내용에 따라 크게 재정목적규범(Fiskalzwecknorm)과 사회목적규범(Sozialzwecknorm)이 있음을 전제로 각각의 경우에 관련될 수 있는 기본권을 평등권과 개별 자유권으로 각각 구분하고, 그러한 바탕위에 현행 조세규범 중 기본권관련성의 면에서 정비를 요하는 부분과 그 방향들을 검토하기로 한다. 조세규범은 각각의 규범들은 나름대로의 정당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고, 정당성이 갖추어지지 못할 경우 국민의 기본권실현에 적지 않은 제약을 가져오게 된다. 최근까지 조세법률에서는 다른 여타 법률영역에서보다 유난히 헌법재판소에 의한 위헌판결이 많이 나오고 있음을 본다. 그 대부분의 위헌사유는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고려이다. 오늘날은 경제생활관계의 복잡화에 따라 조세입법도 치밀해지고 정치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과거와 같이 형식적 조세법률주의의 충족 이 문제되는 사안은 그리 많지 않다. 오히려 실질적 조세법률주의의 관점에서 조세규범의 내용이 정당한지, 그리고 국민의 기본권실현에 제약을 가져오지는 않는지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조세입법의 헌법적 한계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영문 초록
Steuerrechtliche Vorschriften sind dem öffentlichen Eingriffsrecht zuzuordnen. Bei der Prüfung, ob sie gegen Grundrechte als höherrangiges Recht verstoßen, ist daher grundsätzlich auf die bekannten Prüfungsgrundsätze zurückzugreifen. Belastungswirkungen und Gestaltungswirkungen einer Steuervorschrift sind zunächst getrennt auf ihre Verfassungsmäßigkeit zu überprüfen. Prüfungsmaßstab hierfür ist hinsichtlich der Belastungswirkung der Gleichheitssatz und angesichts der Gestaltungswirkungen die einzelne Freiheitsgrundrechte. Im Rahmen der
ersten Säule des verfassungsrechtlichen Rahmens für die Steuergesetzgebung ist nach der Zulässigkeit der Erzielung steuerlicher Belastungswirkungen zur staatsfinenzierung zu fragen. Die grundlegenden Determinanten sind insoweit die Steuerstaatlichkeit und die Belastungsgleichheit nach Maßgabe wirtschaftlicher Leistungsfähigkeit. Die Rechtfertigung einer Abweichung von der Belastungsgleichheit entsprechend der wirtschaftlichen Leistungsfähigkeit ist zu unterscheiden von der Frage, inwieweit eine Steuernorm deshalb, weil sie einen Lenkungszweck verfolgt, als Eingriff in ein spezielles Freiheitsgrundrecht einer Rechtfertigung bedarf. Das Postulat sozialstaatlicher Steuergesetzgebung setzt bei den beiden korrespondierenden Verfassungsentscheidungen für den Steuerstaat und den Sozialstaat an. In dem vorliegenden Beitrag handelt es sich darum, wie die Steuergesetzgebung geändert werden muss, um die Grundrechte der Steuerpflichtigen verwirklichen können zu lasse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조세규범의 종류와 기본권 문제
Ⅲ. 조세규범의 부담효와 기본권
Ⅳ. 조세규범의 형성효와 기본권
Ⅴ. 조세규범의 간소화와 기본권
Ⅵ. 요약 및 결어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에 관한 고찰
- 조세입법체계의 정비를 통한 기본권실현
- 의원내각제에서 대통령의 선출방식에 대한 제도적 고찰
- 헌법과 조세정의
- 미국 헌법상 ‘공적 사용’ 요건의 심사기준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헌법상 교육조항의 해석론과 주요 입법사례의 분석
- 법치주의 기준에서 바라본 依法治國의 의미
- 한국과 독일의 구체적 규범통제제도간 비교
- 조세정책과 사회적 기본권의 관계
- 북한의 2009년 개정헌법의 특징과 평가
- 헌법에 의한 한국 현실의 진단
-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통해 본 입법의 원칙
-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에 대한 헌법적 고찰
- 검찰권과 사법권 개혁의 과제
- 남북통일을 위한 헌법제정권력의 민주적 실현에 관한 연구
- 생명권, 과학기술, 헌법적 가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