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南冥 曺植 遺跡 小考 (Ⅰ)

이용수 241

영문명
A Study on the Remains of Nammyeong Cho-Shik(Ⅰ) : Focused on Sanhae Pavilion and Sinsan Confucian School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李相弼(Lee Sang-pil)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9輯, 103~13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漢文學의 創作 現場과 關聯 遺跡에 對한 深層的 探索이란 주제의 일환으로 집필된 것이다. 남명이 위기지학으로 학문의 방향을 결정하고 난 뒤로부터 가장 오래 동안 머물렀던 산해정의 역사를 더듬으면서, 산해정의 후신이라 할 신산서원의 역사까지 탐색해 보려 하였다. 그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산해정의 창건은 1530년이라 알려 있으나 17세기 중반에 이루어진 「연보」 이외에는 1차적 근거 자료는 없다. 1531년에 위기지학으로 학문의 방향을 결정한 뒤 1532년에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김해로 왔으므로 1532년 무렵에 이루어진 것으로 봄이 온당하다. 1588년에 감사 김수와 부사 양사준의 협조로 죽계 안희가 일을 주도하여 산해정 동쪽 數弓 아래 쪽에 신산서원을 창건하였다. 신산서원과 산해정이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탔다. 안희와 황세열․허경윤 등이 주도하고 부사 김진선의 협조아래 1608년에 착공하여 1609년에 신산서원이 산해정의 유지에 다시 세워졌다. 이 해에 사액되었다. 이때의 원장은 역양 문경호였다. 창건 및 중건 사실을 배대유가 1618년에 「신산서원기」라는 글로 남겼으며, 이를 1705년에 조이추가 글씨를 쓴 현판이 지금까지 걸려서 전해 오고 있다. 1818년에 신산서원 원장 김해부사 이석하의 제의로 원유 송윤증․유방식․조석권 등이 주도하여 신산서원 곁에 산해정을 복원하였다. 이때의 기문은 양산군수 김유헌이 지었고, 상량문은 이석하가 지었다. 이석하의 상량문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고, 김유헌의 기문은 순조 때 편찬된 읍지에 실려 있으나, 산해정에는 걸려 있지 않다. 1830년대에 김해부사 류이좌의 제의로 院儒 宋允增․宋錫洵․許㶅․盧秉淵․曺重掁 등이 주관하여 신산서원 강당을 중수하였다. 이대의 기문은 류이좌가 찬술하였다. 이 기문 또한 서원에 걸려 있지 않다. 1871년에 국가의 서원훼철령에 의해 신산서원과 함께 산해정이 훼철되었다 1890년에 원유 하경도․조종응․허찬 등에 의해 신산서원 터에 산해정이 중건 복원되었다. 이때의 상량문은 방산 허훈이 찬술하였고, 기문은 만성 박치복이 찬술하였다. 박치복의 가문은 현재 산해정에 걸려 있지 않다. 그 뒤 1924년과 1949년 및 1972년, 1983년에 각각 중수되었고, 1998년에는 신산서원이 복원되면서 산해정이 서원의 강당으로 되었다. 사우인 숭도사와 신문인 지숙문, 동서재인 환성재와 유위재, 장서각과 정문인 진덕문등 옛 신산서원의 규모에 걸맞게 복원된 것이다. 이때의 상량문은 김철희가 찬술하였고, 기문은 이우성이 찬술하였다. 1530년대에 남명이 山海亭을 창건한 이후 이러한 변화를 거치고도 지금 그 자리에 산해정이 신산서원의 강당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산해정 뒤의 사우, 앞의 동서재, 내외삼문과 장서각 등을 완벽하게 갖춘 新山書院으로 되어 지금도 후학들이 춘추로 향사를 받들며 그 학덕을 기리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written as part of in-depth investigations into where Chinese classics were created and the relevant remains. Sanhae Pavilion is the place where Nammyeong stayed for the longest period of time after he decided to pursue 'study for myself' in 1531. Sinsan Confucian may be called a later institute of Sanhae Pavil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s. It is known that Sanhae Pavilion was founded in 1530, however no primary material supports the contention, except for 'The Annual Report' prepared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So, it is reasonable that the pavilion was established around 1532 since Nammyeong moved from Seoul to Gimhae in 1532. In 1588, in cooperation with Governor Kim Su and Magistrate Yang Sa-jun, Juk-gye Ahn Hui led the construction of Sinsan Confucian School below Sugung in the east of Sanhae Pavilion. However, both Sinsan Confucian School and Sanhae Pavilion were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Between 1608 and 1609, in cooperation with Magistrate Kim Jin-seon, Ahn Hui, Hwang Se-yeol and Heo Gyeong-yun led the re-construction of Sinsan Confucian School at the old site of Sanhae Pavilion. The name tablet for the school was given by the king that year when it was represented by Yeok-yang Mun Gyeong-ho,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 was described in the Record of Sinsan Confucian School written in 1618 by Bae Dae-yu, according to which the extant name tablet was engraved in 1705 by Cho Yi-Chu. In 1818, at the suggestion of Gimhae Magistrate Yi Seok-ha who was the then president of Sinsan Confucian School, Song Yun-jeung, Yu Bang-sik, Cho Seok-gwon and others led the restoration of Sanhae Pavilion near to Sinsan Confucian School. That time, the prose to mark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was written by Yangsan Magistrate Kim Yu-heon and that to mark the topping out by Yi Seok-ha. Yi Seok-ha's writing has not yet been found while KimYu-heon's was reported in a town's journal published during the regime of King Sun Cho but it has not been hung on Sanhae Pavilion. In the 1830s, at the suggestion of Gimhae Magistrate Yu Tae-jwa, Song Yun-jeung, Song Seok-sun, Heo Hak, Noh Byeong-yeon, Cho Jung-jin and others led the remodeling of the auditorium of Sinsan Confucian School. That time, the prose to mark the remodeling was written by Yu Tae-jwa and it has not been hung on the building, either. In 1871, Sinsan Confucian School and Sanhae Pavilion were all demolished in compliance with a state order to destroy or dismantle private Confucian schools. In 1890, Ha Gyeong-do, Cho Jong-eung, Heo Chan and others led the re-construction of Sanhae Pavilion at the old site of Sinsan Confucian School. That time, the prose to mark the reconstruction was written by Man-seong Park Chi-bok and that to mark the topping out by Bang-san Hu Hoon. Park Chi-bok's writing has not been hung on Sanhae Pavilion. As after that, Sanhae Pavilion was repaired in 1924, 1949, 1972 and 1983 and Sinsan Confusion School was restored in 1998, the former served as the auditorium of the latter. Sinsan Confucian School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cale, which comprises Sungdosa which is a dormitory, Jisuk Gate which is newly constructed, Hwanseongjae and Yuwijae which are east and west residences, Literature Pavilion, and Jindeok Gate which is the main entrance. That time, the prose to mark the restoration was written by Yi Woo-seong and that to mark the topping out by Kim Cheol-hui. Sanhae Pavilion has stood as the auditorium of Sinsan Confucian School, which has gone through the above-mentioned changes since the 1530s when Nammyeong founded the pavilion. Now, Sinsan Confucian School is fully equipped with not only Sanhae Pavilion but also a dormitory at the back of the pavilion, eastern and western lodges in front of the pavilion, three doors in and outside, and Literature Pavilion. Even today, in order to pay tribute to the great learning and virtue of their

목차

Ⅰ. 머리말
Ⅱ. 山海亭의 創建과 重建
Ⅲ. 新山書院의 創建과 毁撤 및 復元
Ⅳ. 名堂齋義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相弼(Lee Sang-pil). (2008).南冥 曺植 遺跡 小考 (Ⅰ). 대동한문학, 29 , 103-136

MLA

李相弼(Lee Sang-pil). "南冥 曺植 遺跡 小考 (Ⅰ)." 대동한문학, 29.(2008): 103-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