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星湖學派의 孟子 談論

이용수 297

영문명
Discussion about the Works of Mencius of the Seong-ho school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함영대(Ham young dae)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9輯, 217~25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호학파의 활발하고 진지한 학문토의는 학파내에 다양한 학문적 지향을 조화롭게 수용한 결과였다. 이는 학파를 설정할 때에 학맥, 당색, 공통된 문제의식과 입장의 공유 뿐 아니라 학문적 문제의식에 대한 다채로운 반향이라는 요소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학파내의 다양한 문제의식이 포용되어 활발하게 토론될 때 그 학파의 내적 긴장감과 에너지는 더욱 활력을 가질 수 있다. 성호학파의 종장인 성호 이익은 경전에 대해서 철저한 비판의식을 가졌으며, 자신의 의문에 대한 진지한 탐색과 추구를 가치있게 여겼다. 이러한 비판적 경전해석의 정신은 정산 이병휴와 녹암 권철신에게 이어졌고 조선 후기의 탁월한 경학자, 다산 정약용에게 전수되었다. 한편 성호의 또 다른 제자인 소남 윤동규와 순암 안정복은 비판적 경전이해의 감각을 수용하면서도 그것보다는 본원의 추구와 함양이라는 도덕실천에 더욱 큰 경학공부의 가치를 두었다. 선현들이 이룩한 성취를 충분히 수용하고 아울러 실천하는데 더 큰 학문적 목적과 의미가 있다고 본 것이다. 성호학파내의 두 상이한 흐름은 학파내에서 문제의식을 선명하고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그 근저에는 전통적 지반과 진취적 성향의 조화를 구현한 학파의 종장인 성호의 학문적 배경과 학파 내의 포용정신의 활발한 상승작용이 있었다. 이러한 성호학파의 성향은 그들의 맹자담론에서도 뚜렷하게 표출되었다. 도통에 대한 관점은 여전히 견지하고 있었지만 도토을 전한 『맹자』라는 경전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성호의 제자들에게 텍스트 비판과 의미론적 관점으로 계승되었다. 도통의 관점은 소남과 순암에게 이어졌으며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안목은 정산과 녹암을 거쳐 다산에게 이어졌다. 벽이단에 대한 관점에서 성호가 가진 異端邪說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효용론적 관점은 소남에게는 유보적으로, 녹암과 다산에게는 적극적으로 이어졌다. 특히 다산은 이단사설이 가진 긍정적인 측면까지 검토하는 적극성을 보였다. 이는 정통유학자로서 자기정체성의 확립과 학파의 앞날을 위해 매우 격렬한 태도로 이단에 대해 비판과 공격을 가했던 순암의 태도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특정 어구에 대한 해석에서 성호는 주자의 견해를 존중하면서도 자신의 견해로 좀 더 적극적으로 부연하는 방식을 취한 것에 비해 순암은 주자와 퇴계의 견해를 묵수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정산은 본문의 맥락에 집중하여 이전의 해석과는 상이한 견해를 제시하였고 다산은 여기에서 다시 변모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성호학파의 맹자담론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다양한 제자들의 삶만큼이나 다양한 견해의 표출이다. 이것은 삶의 신념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단순히 쟁점에 대하여 견해의 차이를 보이는 것과는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맹자담론에서 보여준 소남과 순암의 견해는 致用의 관점으로만 성호학파를 파악하는 것에 대해서 수정을 요하는 대목이며, 아울러 성호학파의 내적 긴장과 그 사이의 학술적, 철학적 의미에 대하여 여전희 새롭게 파악해야할 점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것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e school of Seongho could make animated and serious academic discussion by adopting academic diversity harmoniously. This shows that various reaction over the academic critical mind as well as academic relationship, character of a party, joint ownership of common critical mind and position must be reflected in establishing a school. When a school accepts various critical mind and actively debates, the school can keep intrinsic strain and vitality. Seongho I-ik, a master of the Seongho school, had a radically critical consciousness toward the scriptures and gave a value his serious observation about his own questions. This critical mind toward the scriptures was followed by Jeongsan Lee Byeong-hyu and Nokam Gwon Cheol-sin and was handed to Tasan Jeong Yag-yong, a prominent scholar of the late chosun period. On the other hand Sonam Yun Dong-kyu and Sunam An Jeong-bok, Seongho's another disciples, accepted the critical sense toward the scriptures but put more value of scriptures study on pursuing the origin and moral practice. They thought that to accepted ancient sages achievement in full and practice it is more meaningful and the true object of learning. The two different academic current did much to enhance critical mind and make it clear. Seongho is the master of the school which realized harmony of a traditional foundation and an enterprising disposition and his academic background and catholicity formed the basis of it. This propensity of the Seongho school was seen obviously in their Discussion about the Works of Mencius. It still held on to the point of view about spiritual enlightenment but was taken over text criticism and a semantic point of view by Sung-ho's disciples who had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 the scriptures, the Works of Mencius. The point of view about spiritual enlightenment was maintained by Sonam and Sunam while a critical eye about text was succeeded via Jeongsan and Nokam on to Tasan. In point of view about attack heresy, Seongho's critical recognition and point of view about usefulness toward heresy and heterodoxy quwas succeeded to Sonam with reservation and to Nokam and Tasan actively. Especially Tasan showed enterprising spirit to go over the positive side of heresy and heterodoxy. This is contrary to Sun-am's attitude, which aggressively criticized and attacked heresy for his own identity and the future of the school as an orthodox Confucian scholar. In analysis of specific expressions, Seoungho respected Chu-Hsi's opinion and also elaborated on it with his own opinion. Unlike this, Sun-am showed an aspect to keep to opinion of Chu-Hsi and T'oeGye. Jeongsan concentrated the context of the text and presented conflicting opinion from the former interpretation while Da-san showed another transformation from here. Discussion about the Works of Mencius exhibits opinions as diverse as disciples' lives. This is related to belief in life and needs to be distinguished from a mere difference in opinion over a disputed point. Especially opinions of So-nam and Sun-am in Discussion about the Works of Mencius need to be modified in that they understood the Seong-ho school just in the point of ‘致用’. In addition it still tells intrinsic tension of Seong-ho school as well as academic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need to be newly understood.

목차

1. 문제제기
2. 星湖學派내에서 학술적 지향의 分岐
3. 孟子談論의 쟁점과 양상
4. 星湖學派 孟子談論의 意義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영대(Ham young dae). (2008).星湖學派의 孟子 談論. 대동한문학, 29 , 217-258

MLA

함영대(Ham young dae). "星湖學派의 孟子 談論." 대동한문학, 29.(2008): 217-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