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鄭逑(1543∼1620) 文學의 創作現場과 遺跡에 대한 연구

이용수 299

영문명
A study of the Jeong Ku(鄭逑: 1543∼1620)’s Creation of literature and its Trace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학수(Kim Haksu)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9輯, 137~17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중기의 학자이자 문인이었던 寒岡 鄭逑의 문학창작의 현장과 관련 유적들을 분석, 정리한 것이다. 남명·퇴계 양문의 고제였던 정구는 17세기 초반 조선학계를 대표하며 유학, 특히 예학 부분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것과는 대조적으로 문학에는 크게 공을 들이지 않았고, 『寒岡集』 등에 전하는 작품의 수도 많지 않다. 그럼에도 정구는 소식의 적벽부를 매우 좋아한 古文 애호가였고, 시에 있어서는 朱子이 시를 좋아하였으며, 57세 때인 1599년에는 『古文會粹』, 『朱子詩分類』 등을 저술하기도 했다. 정구는 78년이라는 긴 생애를 사는 동안 많은 사람을 만나 교유하며 창화했고, 때로는 사우들을 위해 애도의 글을 지어야 했으며, 다양한 사람들의 문자 청탁에도 응해야 했다. 이것이 비록 그가 문학적 창작활동을 달가와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시대의 지식인으로 살아감에 있어 문학과 전혀 별개로 존재할 수 없었던 이유였다. 정구 문학의 창작현장은 일상의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정구는 성주 沙月里 柳村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삶이 역사적인 주목을 받은 것은 31세 때인 1573년 창평산에 寒岡精舍를 낙성하면서부터였고, 이후 그는 檜淵草堂(40~50대), 武屹精舍(60대), 칠곡의 蘆谷·泗陽精舍(70대) 등지로 거처를 옮기며 학문과 저술, 강학에 힘썼다. 한강정사는 추원과 학술의 공간, 회연초당은 유식과 강학의 공간, 무흘정사는 피세와 은둔, 궁리를 통해 주자의 삶을 체현하려 했던 공간, 노곡·사양정사는 만년강학처이자 고종처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생활의 공간이자 학문의 공간으로 규정되어야 하겠지만 창작의 공간이기도 했던 것이다. 정구문학의 창작현장과 유적을 검토함에 있어 이 지역읕 우선적으로 다뤄야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물론 정구 문학의 창작현장을 성주·칠곡 일원에 한정할 수는 없다. 영남내에서도 가야산, 창연, 함안, 창원 등지는 그의 문학과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지역이고, 여기에 사실상 전국에 걸쳐 있는 사환·경유·유상처까지를 포함한다면 그 범위는 더욱 확대될 수 밖에 없다. 이들 지역에 대한 연구는 차후의 과제로 남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trace the material and geographical remains of the creative activities by Jeong Ku who was one of the literati and Confucian scholar in the mid of the Chosun dynasty. As being well known, he was the representative grand student of Jo Sik(曹植, 1501∼1572) and YI Hwang(李滉, 1501∼1570)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li(). Accordingly it is not known he created literature and it is rarely easy to find some pieces of literature in the Collected Papers by Han Kangy. But during his long life -he died in his age 78- he traveled many areas of Southern Kyongsang province and other villages such as Dongbok(同福), Tongcheon(通川), Kangnung(江陵), Wonju(原州), Seongchon(成川), Hwoengssong(橫城) Chungju(忠州), Mokchon(木川), Sahwan(仕宦). So it is not difficult to find historical sited related with his journey and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author divides the relevant places of his activities into two categories: around Seongju(星州) and areas along the Nakdong river(洛東江). Even though he did not quite enjoy making poems for enjoyment, he left some poems which was produced in the places related with daily life such as the Academy of Hankang(寒岡精舍), the Garden of White Apicrot(百梅園), the Academy of Muheul(武屹精舍), the Acedemy of Nogok(蘆谷) and the Academy of Sayang(泗陽精舍) etc. The Mt. Chongpyeong , the Mt. Sudo composes the so called nine valleys of Muheul(武屹九曲) and the Academy of Nogok and Sayang was the places where he gave lectures just in the late part of his life. So the places and academies mentioned above were the space for living, creative activities of literature and self-cultivation embedded in the natural harmony. The villages this paper dealt with to understand the life of Jeong Ku were limited clearly to certain area but the space was definitely the center of his creative activities. But to analyze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s there needs to survey other places of Kyeongsang Province including Changnyeong, Changwon, Haman and Andong and, if possible, to the nation wide further.

목차

1. 머리말
2. 성주지역의 창작현장과 그 유적
3. 칠곡지역의 창작현장과 그 유적-蘆谷·泗陽精舍
4. 맺음말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학수(Kim Haksu). (2008).鄭逑(1543∼1620) 文學의 創作現場과 遺跡에 대한 연구. 대동한문학, 29 , 137-178

MLA

김학수(Kim Haksu). "鄭逑(1543∼1620) 文學의 創作現場과 遺跡에 대한 연구." 대동한문학, 29.(2008): 13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