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沆瀣 洪吉周의 文章中原 探索
이용수 79
- 영문명
- An Exploration into Hanghae Gil-ju Hong(沆瀣 洪吉周)"s Literary Center Field(文章中原)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이홍식(Lee Hongshik)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7輯, 383~4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복잡하고 난해한 ‘숙수념’이라는 공간을 탐색하기 위해 그것과 성격이 유사한 또 다른 공간, 즉 문장의 중원에 주목하였다. 문장의 중원은 홍길주가 오랜 사유와 긴 문학 여정을 통해 다다른 가상의 공간으로, 구조적인 측면에서 ‘숙수념’과 닮아있어 『숙수념』 연구의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문학의 궁극적 지향점을 내포하고 있어서 홍길주의 문학세계를 조명할 때에도 힘을 발휘할 수 있다.
다만 본고에서는 문장중원을 통해 홍길주의 공간적 상상력의 실체를 밝혀 향후 『숙수념』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는 만큼, 문장중원의 공간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문장중원에 투영된 공간적 상상력의 근원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문장중원은 깨달음을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고 회의를 통해서 끊임없이 검증되는 공간이다. 둘째, 차이와 동일성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셋째, 정해진 도구와 정해진 장소와 정해진 해석이 없는 공간이다. 넷째, 대립의 소통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공간이다.
이상 제시한 네 가지 특징은 문장중원을 넘어 ‘숙수념’이라는 공간을 지탱하고 유지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는 만큼, 『숙수념』을 연구함에 있어서 방향을 잃지 않게 하는 나침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홍길주의 개성적 문학을 탄생시킨 중요한 질료가 되는 만큼, 향후 문학 연구에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문장중원을 통해 홍길주의 공간적 상상력의 실체를 밝혀 향후 『숙수념』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는 만큼, 문장중원의 공간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문장중원에 투영된 공간적 상상력의 근원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문장중원은 깨달음을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고 회의를 통해서 끊임없이 검증되는 공간이다. 둘째, 차이와 동일성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셋째, 정해진 도구와 정해진 장소와 정해진 해석이 없는 공간이다. 넷째, 대립의 소통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공간이다.
이상 제시한 네 가지 특징은 문장중원을 넘어 ‘숙수념’이라는 공간을 지탱하고 유지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는 만큼, 『숙수념』을 연구함에 있어서 방향을 잃지 않게 하는 나침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홍길주의 개성적 문학을 탄생시킨 중요한 질료가 되는 만큼, 향후 문학 연구에 있어서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xplore into a complicated and unintelligible space called ‘Suksunyeom(孰遂念)" which was originally devised by Hanghae Gil-ju Hong(沆瀣洪吉周), this study focused upon Munjang Jungwon(文章中原, literary center field), another space with similar nature as Suksunyeom.
The literary center field or Mungjang Jungwon was a virtual space which Hong reached through many years of speculations and long literary journey, and also has a potential of good guiding model for our contemporary studies on ‘Suksunyeom", because it resembles Suksunyeom in structural aspects. Furthermore, his literary center field encompasses certain ultimate destination of literature, so it may have its own influences upon our contemporary academic efforts to illuminate his literary world.
However, as long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unjang Jungwon and thereby uncover the reality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to prepare a foothold for follow-up studies on ‘Suksunyeom",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clear spatial distinctiveness of Munjang Jungwon.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educe four major sources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projected into Munjang Jungwon. That is, it was found that Munjang Jungwon(literary center field) is a space accessible only by realization, a space requiring ceaseless verification through skepticism, a space where differences go together with identicalness, a space without any certain tool, location or interpretation, and a space expandable ever through mutual communications between opposed entitie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these four major sources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form the pivotal framework that supports and maintains his space of ‘Suksunyeom" beyond his literary center field.
The literary center field or Mungjang Jungwon was a virtual space which Hong reached through many years of speculations and long literary journey, and also has a potential of good guiding model for our contemporary studies on ‘Suksunyeom", because it resembles Suksunyeom in structural aspects. Furthermore, his literary center field encompasses certain ultimate destination of literature, so it may have its own influences upon our contemporary academic efforts to illuminate his literary world.
However, as long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unjang Jungwon and thereby uncover the reality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to prepare a foothold for follow-up studies on ‘Suksunyeom",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clear spatial distinctiveness of Munjang Jungwon.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educe four major sources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projected into Munjang Jungwon. That is, it was found that Munjang Jungwon(literary center field) is a space accessible only by realization, a space requiring ceaseless verification through skepticism, a space where differences go together with identicalness, a space without any certain tool, location or interpretation, and a space expandable ever through mutual communications between opposed entitie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these four major sources of Hong"s spatial imagination form the pivotal framework that supports and maintains his space of ‘Suksunyeom" beyond his literary center fiel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장중원의 공간적 특징
Ⅲ. 문장중원의 문학적 구현과 『숙수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문장중원의 공간적 특징
Ⅲ. 문장중원의 문학적 구현과 『숙수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南孝溫의 自挽詩 硏究
- 佛敎 「和歸去來辭」에 관한 考察 - 韓中佛敎文學을 중심으로
- 朝鮮後期 驪州 李氏家의 書畵收藏 硏究
- 이동동사 ‘奔’과 ‘走’의 의미 범주 연구 - 『三國史記』를 중심으로
- 鄕儒 黃胤錫의 泮村 寄食과 卜妾
- 沆瀣 洪吉周의 文章中原 探索
- 高麗後期 對中國使臣 送詩에 表現된 外交認識의 變化와 그 意味
- 小訥 盧相稷의 저술 및 문헌출간활동 - 구한말 영남 지식인의 지식소통의 공간과 방식
- 記錄文에 대한 想像的 接近의 일례 - 장영실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論語 學而篇 硏究 - 논어 편찬 과정에 대한 一 管見
- 東洋漢文學會 會則 외
- 이재 황윤석의 서학 인식과 특징
- 호남선비 황윤석이 본 ‘호남차별’ 문제
- 근대계몽기 개신 유학자들의 성 담론과 그 의의 - 개가‘론’∕열녀‘담’을 중심으로
- 申緯의 詩人意識과 技法으로서의 詩學
-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국어의 줄임말 현상에 따른 언어변이 양상과 문제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