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이용수 346

영문명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Demonstrated in His Poems of Ume Blossom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李在鎰(Jae-Il Lee)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7輯, 303~34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0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황은 매화를 소재로 한 75題 106首의 시를 남겼으며, 그 중 62제 91수를 選拔하여 「梅花詩帖」이라는 단행본 시집으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이황의 행위는 일관된 의미망 형성을 위한 의도적인 것으로 짐작되며, 따라서 결코 예사롭게 여길 바가 아니라고 하겠다. 매화는 분명 이황의 意識의 指向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일 터인데, 그 의식지향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일까?
  그 해답의 모색에 있어서 우선 매화에 대한 이황의 特異한 態度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 태도는 한 마디로 酷愛라고 하겠다. 이황 스스로 자신이 매화를 혹애한다고 明言했거니와, 예컨대 매화의 寒傷에 대해 절절히 가슴 아파하며, 매화와 오랜 知己인 것처럼 서로의 胸襟을 贈答하는 등 그의 매화에 대한 行爲는 혹애라 아니할 수 없을 터이다.
  이황의 그와 같은 매화에 대한 혹애의 이유는 매화가 자신과 同一視되었기 때문이고, 그 동일시의 媒介는 淸淨이라고 생각된다. 벼슬살이에서 무수히 엿보이는 이황의 고뇌의 바탕으로 여겨지는 그의 廉直性 내지 介潔性은 청정성에 다름 아니라 하겠으며, 由來上 매화는 청정의 表象이고 이황의 매화시들 역시 맑고 차가운 이미지 내지 배경, 仙界의 詩想, 隱士의 삶, 節槪 등으로 보아 그 모티브는 청정이라고 해야 할 터이다.
  청정을 매개로 하는 이황의 매화 同一視는 贈答詩, 寒傷詩, 物我一體的交融의 詩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논의가 가능할 듯하다. 증답시는 말 그대로 이황과 매화 간에 주고받은 形式의 시인데, 그 形式은 이황의 매화 동일시의 극한적 內容을 담아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하겠다. 한상시는 이황이 매화가 추위로 인해 손상된 모습을 마치 자신의 손상인양 애달파하면서 지은 시들에 붙이는 이름인데, 이 역시 이황의 극한적인 매화 동일시가 만들어낸, 매화시의 특이한 內容的 양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황의 매화시는 주로 자아와 매화 간의 個我的 경계가 허물어진, 물아일체적 교융을 詩化한 것이라고 할 터이다.
  결론적으로, 매화시에 나타난 이황의 의식지향은 內面的 淸淨이다. 내면적 청정은 人慾이 蕩滌된 상태이므로 天人合一의 境界이며, 精神의 絶對自由의 境地라고도 표현되는 意識의 自由이다. 따라서 매화시에 나타나는 이황의 의식지향이란 종국적으로는 自由에의 指向이라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Lee Hwang left 106 poems under 75 subjects on a theme of Ume blossom and among these, he selected 91 poems under 62 subjects to produce the independent volume of poetry titled 「Maehwasicheob」. It is expected that this Lee Hwang"s behavior was intended to form the consistent semantic network,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is point. Ume blossom might have been a barometer that can judge his aim for consciousness. If so, what is the aim for consciousness?
  To explore the answer, we need to make sure of Lee Hwang"s unique attitude towards Ume blossom. The attitude might be called ‘tremendous love" in brief. Lee Hwang claimed himself that he possessed the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And for example, he expressed a deep pain on damage of Ume blossom due to a cold weather and he spoke his bosom as if he and Ume blossom were old friends. Nobody would deny that these behaviors originated from hi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The reason for Lee Hwang"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was because Ume blossom was identified with himself and the medium of this identification was considered to be cleanness. His integrity and pure character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basis of Lee Hwang"s agony during his official life did not much differ from cleanness. According to history, Ume blossom was a representative of cleanness and in consideration of its pure/cold image or background, poetical imagination of God"s world, hermit"s life, fidelity, motive of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y be cleanness.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by the medium of cleanness can be discussed in three aspects―poem of exchange talks,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and poem of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Poem of exchange talks means type of poetry in which Lee Hwang and Ume blossom exchanged the talks and the type is the most adequate to get an extreme content of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oems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means that Lee Hwang produced this sort of poems when he confessed a heartrending sorrow to see the damaged Ume blossom due to cold weather as if he had been damaged. This also could be unique contents trend on poems of Ume blossom that Lee Hwang"s extreme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roduced. Poem of exchange talks and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were the representative types,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inly could be said that addressed the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without individual barrier.
  In conclusion,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is internal cleanness. Internal cleanness means the completely cleared off state of human greediness. Therefore this is a state of union between God and man and freedom of consciousness can be demonstrated as absolute freedom state of mentality. Therefore,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can ultimately mean the aim for freedom.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이황의 梅花에 대한 態度
Ⅲ. 매화시에 나타난 이황의 의식지향 分析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在鎰(Jae-Il Lee). (2008).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동양한문학연구, 27 , 303-343

MLA

李在鎰(Jae-Il Lee).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동양한문학연구, 27.(2008): 303-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